해룡창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동, 오천동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
폐지 시기
조선 초기
시행처
고려왕조
주관 부서
고려 상서성 호부
내용 요약

해룡창은 고려시대에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동, 오천동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이다. 고려시대 13조창 중의 하나로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동 해룡산 일대에 있었다. 추수가 끝난 후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조세를 모아 두었다가 2월에 발송을 시작하여 4월까지 마치도록 하였다. 정종 때 전국 조창에 조운선을 설치할 때 1,000석을 적재할 수 있는 초마선 6척이 설치되어 개경까지의 조세 운동을 담당하였다. 지금도 해룡산 정상부와 남서쪽 평지에는 당시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기와편과 청자편이 종종 목격된다.

정의
고려시대에,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동, 오천동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제정 목적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13 조창(漕倉)을 설치하고 조운(漕運)을 통하여 각 지방의 주2개경(開京)으로 운반하였다. 해룡창(海龍倉)은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개경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내용

해룡창은 고려시대에 설치한 전국 13조창 중 하나로, 전라도 승주(昇州)에 설치되었다. 승주는 현 전라남도 순천시 지역의 고려시대 명칭으로, 승평(昇平)이라고도 불렀다. 고려 초기 성종(成宗) 연간(981~997년)에는 해룡창이 위치했던 포구를 조양포(潮陽浦)라고 불렀으며, 그 이전에는 사비포(沙飛浦)라 하였다. 992년(성종 11) 개경까지의 수경가(輸京價, 조운선의 운반 비용)를 정할 때에, 해룡창이 있었던 조양포에서 개경까지는 세곡 6석 당 1석의 운반 비용을 책정하였다. 해룡창의 수세(收稅) 구역은 전라도 동남부 지역에 해당하며, 고려시대 행정 단위로 보면 승평(승주)와 그 속군현(屬郡縣) 지역이 중심이었을 것이다.

해룡창의 위치는 순천만의 안쪽 깊숙한 곳으로 순천 동천(東川)과 이사천(伊沙川)이 합류하는 지점에 해당한다. 현재는 농경지로 개간되어 있으나, 과거 고려시대에는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곳이었다. 순천시 홍내동과 오천동 지역의 경계에 위치한 해룡산(海龍山)에는 현재도 해룡산성(海龍山城: 홍내산성)의 터가 남아 있다. 해룡산성은 후삼국시기 순천 지역의 호족(豪族)이자 견훤(甄萱)의 사위였던 박영규(朴英規)와 관련된 전승이 전해지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박영규가 해룡산신(海龍山神)이 되었으며 해룡산에는 해룡산사(海龍山祠)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해룡산사는 박영규를 모시던 사당이었을 것이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해룡산 토성(土城) 터가 예전에 조세를 거두어 바다를 통해 운반하던 곳인 해룡창이 있던 곳이라 서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고려시대 해룡산성은 해룡창의 창고 시설을 관장하고 보호하는 시설로서 기능하였을 것이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정종(靖宗) 때(1034~1046) 전국 각 조창에 배치할 주1의 숫자를 정하면서, 해룡창에는 1척 당 1,0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초마선(哨馬船) 6척을 두었다고 한다. 해룡창에 모인 세곡은 남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개경의 경창으로 운송되었다. 해룡창을 비롯한 13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13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仁宗) 때(1122~1146년)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祿俸) 규정에 따르면, 13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주3이 지급되었다.

변천 사항

고려 후기 왜적(倭賊)의 침략이 심해지면서 조운을 통한 세곡 운송에 큰 곤란이 발생하였다. 해룡창이 있던 순천 지역은 왜구(倭寇)가 왕래하는 남해안과 가까이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해룡창에서의 세곡 운송은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해룡창 앞을 흐르던 이사천과 순천 동천에 토사의 퇴적이 누적되면서, 해룡창이 있던 조양포의 포구로서의 여건이 점차 악화되었다. 그러므로 고려 말기에 이르러 해룡창은 조창으로서의 기능을 사실상 상실하였다. 『성종실록(成宗實錄)』 19년 5월 25일 기사에는 태종(太宗) 때 해룡창이 잠시 설치되어 운영되었다는 기사가 남아 있으나 얼마 동안이나 존속했는지는 알 수 없다. 조선 후기에는 지금의 순천시 해룡면 해창리 지역에 순천 지역의 창고가 위치하였다. 해창리의 창고는 조창의 기능을 수행한 것은 아니었으나, 해룡산보다 순천 동천의 하구 지점에 위치하였다.

의의 및 평가

해룡창은 개경에서 멀리 떨어진 전라도 동남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경창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운선의 운송 거리를 줄이기 위해 전라도 남해안에 위치한 군현의 조세를 법성창(法聖倉)영산창(榮山倉)에 납부하게 하였으므로 해룡창은 다시 설치되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는 해룡창보다 조금 더 바다에 가까운 남쪽 지역에 해창(海倉)이 설치되어 해룡창의 명맥을 이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14(탐구당, 1993)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혜안, 2013)
문경호,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혜안, 2014)

논문

문경호, 「여말 선초 조운제도의 연속과 변화」(『지방사와 지방문화』 17-1, 역사문화학회, 2014)
변동명, 「해룡산성과 순천」(『전남사학』 19, 전남사학회, 2002)
정요근, 「고려~조선전기 조창의 분포와 입지」(『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한정훈, 「조선 건국기 조운체제의 정비와 그 의미」(『진단학보』 120, 진단학회, 2014)
六反田豊, 「高麗末期の漕運運營」(『久留米大學文學部紀要』 國際文化學科編 2, 1993)
주석
주1

물건을 실어 나르는 데 쓰는 배. 우리말샘

주2

나라에 조세로 바치는 곡식. 우리말샘

주3

벼슬아치에게 일 년 또는 계절 단위로 나누어 주던 금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쌀, 보리, 명주, 베, 돈 따위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