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면사 ()

목차
불교
유적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공덕산(功德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백련사(白蓮社)
목차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공덕산(功德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상이 창건한 사찰.
내용

대승사(大乘寺)와 10리의 간격을 두고 산의 서남쪽에 있었으며, 사불산(四佛山) 백련사(白蓮社)라고도 한다. 신라 시대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미면사라 한 것은 의상이 용녀(龍女)의 시중을 받으며 불경을 강할 때 뜰의 좌우에 있는 두 곳의 우물 중 한 곳에서는 쌀이 나오고, 다른 곳에서는 밀가루가 나와 아무리 많은 대중이 공양해도 줄어들지 않았다고 하여 지어진 것이다. 백련사라 불린 것은 원효(元曉)가 이곳에 머무르면서 『법화경(法華經)』을 강할 때 땅에서 연꽃이 피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창건 당시의 미면정(米麵井)과 의상의 종립(鬃笠)·석장(錫杖)·설법대(說法臺)는 고려 때까지 남아 있었다. 1241년(고종 28) 소경(少卿) 최자(崔滋)가 상주목(尙州牧)에 들렀다가 이 절의 유래를 듣고 기이하게 여겨 찾아가 보니, 옛 전당(殿堂)에는 원효·의상의 진상(眞像)이 먼지투성이로 남아 있었으나, 의상의 종립과 석장은 오히려 깨끗하게 보존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 밖에도 금호석(禁虎石)·냉천정(冷泉亭)·백련사 현판 등을 보고, 법조왕공(法曹王公)을 독려하여 중창을 시작하였다.

1243년(고종 30) 불우(佛宇)·조당(祖堂)·승료(僧寮)·객실(客室)·허백루(虛白樓)·냉천정 아래의 신청교(神淸橋) 등 60여 칸을 완성하고, 조계산인(曹溪山人) 탁연(卓然)을 청하여 각 건물의 액제(額題)와 동백련사(東白蓮社)라는 사호(寺號)를 쓰게 하여 호남의 만덕산(萬德山) 백련사(白蓮社)와 구별하게 하였다.

1244년(고종 31) 최자의 품신으로 이 절의 주맹법사(主盟法師)가 된 천책(天頙)은 「유사불산기(遊四佛山記)」를 짓는 한편, 법화도량(法華道場)을 개설하고 백련결사(白蓮結社)를 조직하여 염불삼매(念佛三昧)를 권장함에 따라 만덕산 백련사와 함께 천태종의 중심 수행처가 되었다. 그 뒤 권문세가의 장지(葬地)로 잠식되어 소수의 탁발승만이 살았으며, 지금은 옛 자취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폐허가 되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승사사적기(大乘寺事蹟記)』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불교학보』 16(불교문화연구소, 1979)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