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와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동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박동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8년 아들 휴곤(烋坤)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의 서문과 권말에 족친 용화(容和)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1수, 잡저 6편, 권2는 부록으로 서(書) 1편, 시 1수, 제문·행장·유사·묘지명·묘갈명·전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의 「병와수록(病窩隨錄)」은 느낀 바를 수필식으로 기술한 것으로, 학문은 자기를 수양하여 성현이 되기 위한 길이라고 이유를 밝히고, 공부를 부지런히 하여 하나씩 깨달아 가면 성현의 지위에 이를 수 있지만, 어렵다고 포기하면 어리석은 인간을 면할 수 없다는 근본설로 면학을 권유하였다.

「답인문(答人問)」은 범녀(范女)가 맹자의 마음이 출입한다는 설을 부정한 데 대하여 반박한 것으로, 마음은 체와 용으로 구분되는데, 체로 말하면 출입이 있을 수 없지만 용으로 말하면 출입이 있다고 해석하고, 범녀는 체만 알았지 용은 몰랐다고 반박하였다.

이밖에도 「대학경일장도(大學經一章圖)」·「대학차의(大學箚義)」·「중용수장도(中庸首章圖)」·「중용차의(中庸箚義)」가 있어 『대학』과 『중용』 연구에 도움을 준다. 「작시문법(作詩文法)」은 시 짓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한시 연구에 자료가 된다.

집필자
박용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