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덕균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고광순 의진에서 참모로 활동하였으며, 가산을 팔아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이칭
정효(正孝)
몽암(蒙庵)
이칭
신덕순(申德淳), 신정회(申正會)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8년(고종 15)
사망 연도
1908년(순종 1)
본관
평산(平山)
출생지
광주
정의
대한제국기 때, 고광순 의진에서 참모로 활동하였으며, 가산을 팔아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전개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초명은 신덕순(申德淳)·신정회(申正會), 자는 정효(正孝), 호는 몽암(蒙庵). 광주(光州) 출신. 신태수(申泰洙)의 아들이다. 일찍이 기우만(奇宇萬)과 전우(田愚)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학문에 뛰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된 뒤 최익현(崔益鉉)의 창의격문을 받아 동지를 규합, 기회를 엿보던 중 1907년 4월 25일 고광순(高光洵)의진이 동복(同福)으로 진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사촌아우인 신상철(申相徹)과 같이 달려갔으나, 전세가 불리하여 집으로 돌아와 재거를 계획하였다.

1907년 8월 고광순의진에 입대하여 참모가 되었으며, 전라남도 창평 제심리를 중심으로 대규모 거사계획을 숙의하였다. 1907년 9월 14일 고광순의진은 신덕균의 제의에 따라 일본인이 많다고 알려진 동복읍을 습격하여 적들을 궤산시키고, 하동 화개동으로 들어갔다.

그 뒤 구례 연곡사에 본영을 정하고 의진의 부서를 개편하였는데 참모로 유임되었다. 같은 해 10월 17일 광주에 주둔하였던 일본수비대의 기습공격을 받아 대장 고광순과 부장 고광훈(高光勳)이 붙잡혔으나, 신덕균은 참모인 윤영기(尹永淇)와 소모(召募)하기 위하여 외지에 나가 있었기 때문에 화를 면하였다.

그 뒤 가산을 팔아 무기를 갖추고 의병 100여 명을 모아 재기하여 운봉·함양·순창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1908년 전라북도 순창 회문산(回文山)에서 왜군에게 붙잡혀 그해 11월 정읍 고부에서 피살,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몽암창의사실(蒙庵倡義事實)』(안종섭 편)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호남절의사』(김정상 편, 송천서원, 1961)
집필자
김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