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초당시고 ()

목차
관련 정보
운초당시고
운초당시고
한문학
문헌
조선시대 기생 · 시인 운초의 시 「춘소」 · 「도영헌」 · 「행화촌」 등을 수록한 시집.
이칭
이칭
부용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기생 · 시인 운초의 시 「춘소」 · 「도영헌」 · 「행화촌」 등을 수록한 시집.
개설

1책(36장). 필사본. 일명 ‘부용집(芙蓉集)’이라고도 한다. 이 시집은 표제 다음에 ‘조선성천여사운초저(朝鮮成川女史雲楚著)’라 한 뒤 목차 없이 바로 시를 싣고 있다. 「춘소(春宵)」·「도영헌(倒影軒)」·「행화촌(杏花村)」 등 130여수가 실려 있다.

내용 및 평가

수록된 시 가운데는 신분이 미천하여 겪는 갈등을 그린 「자조(自嘲)」 등 자신의 처지에 대한 감상적인 시가 많으며, 자신이 소실로 있었던 김이양(金履陽)에게 주는 시 또는 화답한 시가 많다.

또한, 삼호정시단(三湖亭詩壇)의 동인으로 함께 시를 주고받은 경산(瓊山)에게 준 시도 많다. 그의 시 중 「층시(層詩)」는 이별을 노래한 애정시로서 시각적 효과도 높은 점층시이다.

이 시집은 사본으로 몇 종이 유전되다가 일제강점기에 성천사람 김호신(金鎬信)이 ‘부용집’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하였고, 김안서(金岸曙)는 자신의 소장본에서 18수를 뽑아 『꽃다발』(1944)에 번역하여 실었으며, 『금잔디』(1947)에는 30수를 번역하여 여류시번역집을 내었다.

1950년 민병도(閔丙燾)가 『조선역대여류문집(朝鮮歷代女流文集)』에 시 235편을 수록하였다.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활자본 『부용집』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안동김씨세보(安東金氏世譜)』
『연천집(淵泉集)』
「삼호정시단(三湖亭詩壇)의 특성(特性)과 작품(作品)-최초(最初)의 여류시단(女流詩壇)-」(김지용, 『아세아여성연구』 16, 숙명여자대학교,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지용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