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종성부사, 나주목사, 의주부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휘백(輝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8년(숙종 14)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용인(龍仁)
주요 관직
종성부사|나주목사|의주부윤
관련 사건
신임옥사
정의
조선 후기에, 종성부사, 나주목사, 의주부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휘백(輝伯). 보은현감 이하악(李河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세만(李世萬)이다. 아버지는 목사(牧使) 이의저(李宜著)이며, 어머니는 정정양(鄭正陽)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벼슬에 나아가서는 지평·정언·교리·집의 등을 거쳐, 대사헌·종성부사(鐘城府使)·나주목사(羅州牧使)·승지·의주부윤(義州府尹) 등을 역임하였다.

1723년(경종 3)에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의 세제책봉(世弟冊封)을 둘러싼 신임옥사(辛壬獄事)가 일어나자, 지평이었던 이보욱은 이만성(李晩成) 등이 노론 4대신의 흉역(凶逆)에 참여하였다 하여 국문하기를 청하였다.

또 신임옥을 고변한 목호룡(睦虎龍)만이 단신으로 녹훈(錄勳)되자, 국조 300년에 고변자가 단독으로 원훈(元勳: 나라를 위해 가장 큰 공을 세움.)된 예는 없다 하여 마땅히 옥사를 다스린 여러 신하들이 함께 녹훈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때 옥사를 담당한 대신들이 모두 소론이었던 만큼, 영조 즉위로 노론이 득세하자 김일경(金一鏡)·목호룡의 여당으로 몰려 탄핵을 받고 유배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장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