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동래부사,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선(仲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8년(인조 26)
사망 연도
1719년(숙종 45)
본관
완산(完山)
주요 관직
강원도관찰사|형조참판|동래부사
정의
조선 후기에, 형조참판, 동래부사,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중선(仲先). 종실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이다. 아버지는 봉산군(蓬山君) 이형신(李炯信)이며, 어머니는 한득일(韓得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1년(숙종 17) 알성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1694년(숙종 20)에 승지가 되었다. 이 때 형조에서 호남의 간민(奸民)과 병조서리가 함께 모의하여, 섬에 거주하는 한정(閑丁: 놀고 있는 성인 남정)을 조사하여 찾아낸다고 거짓 공문을 내어 폐를 일으킨 죄로 효수하게 되었는데, 형조가 그 죄를 논하여 왕에게 아뢰 치죄를 묻지도 않은 채 바로 처단하는 것은 인명을 중시하는 도리가 아니라고 직언하였다.

1697년(숙종 23)에 강원도관찰사가 되어서는 고성(高城)의 굶주린 형제가 서로 먹으려 하다가 함께 굶어 죽은 사건으로 추고당하기도 하였다. 이어 승지·동지부사(冬至府使)·형조참판을 거쳐, 다시 승지·동래부사가 되었다.

이 때 병을 핑계로 사직을 청하였으나, 변방 수령이 싫어 관직 교체를 꾀하는 습속이 가악스럽다 하여 특명으로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 1706년(숙종 32)에 대사간·경상감사를 거쳐 1713년(숙종 39)에 예조참판이 되었다.

이 때 숙종 재위 40주년을 맞아 여러 신하들이 왕에게 존호(尊號)의 예를 마련하고자 하자, 왕에게 이를 받아 들이지 말도록 상언(上言)하였다. 1716년(숙종 42)에 도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사직이 되었다.

이 때 연명 상소로 세자의 위호(位號) 제정을 독촉하여, 나라의 근본이 흔들리지 않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어 경기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당후일록(堂后日錄)』
집필자
장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