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세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미중(美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01년(숙종 27)
사망 연도
1754년(영조 30)
본관
공주(公州)
주요 관직
정언
정의
조선 후기에,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공주(公州). 자는 미중(美仲). 이집(李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공간(李公幹)이다. 아버지는 이성(李성)이며, 어머니는 성중기(成重器)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유학(幼學)으로 전시(殿試)에 직부(直赴)가 되어, 1733년(영조 9) 식년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1744년(영조 20)에 정언으로서 김재로(金在魯)·송인명(宋寅明)·조현명(趙顯命) 등 3정승을 무고하고, 탕평책(蕩平策)을 저지, 조롱하였다 하여 함경도 경성(京城)에 유배되었다. 이 때 대사헌 김유경(金有慶)이 나서서 적극 구원하는 소를 올리기도 하였지만, 그 이듬해에 가서야 유배가 취소되었다.

이어 정언 송형중(宋瑩中)이 이러한 직간(直諫)의 문을 닫아 사적(仕籍: 벼슬아치의 명단)에서 깎아버린다면 앞으로 나라에 간특한 일이 있어도 누가 감히 나서서 논척(論斥)하겠느냐고 구원하기도 하였지만, 10년 동안 폐고(廢錮)되어 마침내 상심하여 죽었다.

이에 영조도 일찍이 이언세의 절의를 높이 사서, 나라에 일이 있으면 이 사람이 종사관(從事官)이 될 만하다 하고 절의를 지키다 죽은 사람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장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