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징원(澄源)
시호
정민(貞敏)
이칭
완흥군(完興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년(명종 17)
사망 연도
1593년(선조 26)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홍문관수찬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의
조선 중기에,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원(澄源). 희안군 이집(李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금천군 이감(李瑊)이다. 아버지는 완창부원군 이성중(李誠中)이며, 어머니는 의빈부경력 조수(趙琇)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83년(선조 16)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을 거쳐 예문관검열에 서임되었다. 1588년 사신을 수행해 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사축서(司畜署)를 거쳐 병조좌랑·지제교·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홍문관수찬을 역임하고, 1591년 사가독서(賜暇讀書: 문흥을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 전념하게 하던 제도)하였다.

그 해 이조좌랑, 다시 승문원교리가 되었을 때 순무사에 임명되어 북방의 형편을 살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체찰사 최흥원(崔興源)의 종사관으로 황해도 지방에 파견되었다. 서울이 위태롭다는 급보를 듣고 달려와 선조를 서울 근교 사현(沙峴)에서 만나, 그 뒤 의주까지 호종해 공신으로 책록되었다. 어머니와 결별하고 선조를 모셨는데 어머니가 지름길로 의주까지 와 상봉했으니 충효를 겸전하였다. 그 해 이조정랑으로 중직대부(中直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왜적을 피해 북상하던 중 광해군이 함경도로 가게 되었을 때 수천의 백관과 위졸(衛卒)의 대오를 편성해 혼란 없이 가게 하였다. 선조가 의주에 머물러 명나라에 원병을 청할 때 이항복(李恒福) 막하에서 계책을 세워 평양 탈환에 큰 공을 세웠다. 1593년 의주목사 겸 병마절제사가 되어 장졸을 통어하는 한편, 장정 3인 이상을 가진 사람에게 2인을 취업하게 하니 민심이 크게 안정되었다. 그러나 과로로 죽었다.

성품이 강직해 중상하는 자가 많았으나, 선조가 항상 좌우에 두면서 대소사를 자문하였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며, 이조판서에 증직되고 완흥군(完興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정민(貞敏)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기언별집(記言別集)』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집필자
이재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