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보(彛甫)
담운(澹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53년(영조 29)
본관
창녕(昌寧)
주요 관직
참판|예문관대제학
정의
조선 후기에, 대사헌, 이조참판,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이보(彛甫), 호는 담운(澹雲). 조한영(曺漢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전주(曺殿周)이고, 아버지는 판결사 조하기(曺夏奇)이며, 어머니는 한여우(韓如愚)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17년(숙종 43) 사마시를 거쳐,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21년(경종 1) 검열에 재직 중 신임사화로 파직당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정언에 등용되어 9개 조항의 시정(施政)을 상소하였으며, 이듬해 어사로 임명된 바 있다.

1727년 경종의 질병을 중외(中外)에 해명하도록 소를 올리고, 소론을 논척하는 데 앞장섰다. 1728년 이후 교리·부수찬·지평·승지·광주부사(廣州府使) 등을 역임하고, 1735년 대사성을 거쳐 이듬해 대사간·이조참의를 지냈다.

1740년에는 소론인 조태억(趙泰億)의 손자 영근(榮謹)의 문묘(文廟) 배알을 막아 파직되었다. 그러나 다음해 다시 등용되어 정언·부교리·개성유수 등을 지내고, 1747년 대사헌에 올랐으며, 그 해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다시 대사헌·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749년 대사헌에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서용되어 호조참판·대사헌·이조참판에 이어 1753년 예문관제학에 이르렀다. 덕행과 학문으로 선비의 추앙을 받았으며, 글씨에도 뛰어나 많은 비문을 남겼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능가사사적비(楞伽寺事蹟碑)」·「영의정최규서표(領議政崔奎瑞表)」·「예조판서김시환비(禮曹判書金始煥碑)」·「판돈녕부사조광원비(判敦寧府事曺光遠碑)」·「공조참판조문수비(工曹參判曺文秀碑)」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문헌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집필자
오갑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