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억 ()

조태억 초상
조태억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대년(大年)
겸재(謙齋), 태록당(胎祿堂)
시호
문충(文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5년(숙종 1)
사망 연도
1728년(영조 4)
본관
양주(楊州)
주요 관직
병조판서|우의정|좌의정
정의
조선 후기에,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대년(大年), 호는 겸재(謙齋) · 태록당(胎祿堂). 조존성(趙存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조계원(趙啓遠)이다. 아버지는 이조참의 조가석(趙嘉錫)이며, 어머니는 윤이명(尹以明)의 딸이다. 조태구(趙泰耉) · 조태채(趙泰采)주1이다. 최석정(崔錫鼎)의 문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693년(숙종 19) 진사가 되고, 170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 · 지평 · 정언 등을 지냈다. 1707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08년 이조정랑을 거쳐 우부승지를 지내고, 다음 해 철원부사로 나갔다가 1710년 대사성에 오르고, 1711년 일본에 통신사로 차출되어 일본에 다녀 왔는데 이 때에도 막부의 어용화가 가노 쓰네노부(狩野常信)가 그린 조태억의 초상화가 전해진다.

그 뒤 이조참의 · 호조참의가 되었다가 1712년 왜인의 국서(國書)가 격식에 어긋났다는 이유로 관작이 삭탈되고, 주2되었다가 이듬해 풀려 나왔다. 1714년 다시 기용되어 이듬해 공조참의가 되고 예조참의를 거쳐 1717년 여주목사로 나갔다가 1719년 장례원판결사가 되었다.

1720년 다시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1721년(경종 1) 호조참판으로 기용되고, 같은 해 대사성 · 세제우부빈객이 되었다. 이어 부제학 · 형조판서 · 지경연사(知經筵事) · 우빈객(右賓客)을 거쳐 1722년 대제학이 되었고, 공조판서 · 예조판서 등을 거쳐 1724년 호조판서에 올랐다.

그 해 영조가 즉위하자, 즉위의 주3을 지었고, 병조판서가 되었다가 출사(出仕) 8일 만에 복상(卜相)이 있어 이조판서 이조(李肇)의 추천으로 우의정에 올랐다. 같은 날 호위대장(扈衛大將)을 제수받았으며 대제학을 겸임하였다. 1725년(영조 1) 사간 이봉익(李鳳翼), 지평 유복명(柳復明) 등의 청으로 판중추부사로 전직되었다가 이어 주4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좌의정에 복직되었다가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전임하였다. 1721년 호조참판으로 있으면서 조태구 · 최석항(崔錫恒) · 이광좌(李光佐) 등과 함께 세제(世弟: 뒤의 영조) 책봉과 대리청정을 반대하여 철회시켰으며, 소론정권에 참여하여 크게 기용되었다.

온건파에 속했고, 영조 즉위 후 김일경(金一鏡)소론 과격파의 국문 때 책임관이 되었으나 위관(委官)의 직책을 매우 불안히 여겨 왕의 친국을 청하기도 하였다. 초서(草書) · 예서를 잘 쓰고 주5를 잘 그렸으며, 친필 서첩으로 『유고조태억(遺稿趙泰億)』이 남아 있다. 1755년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가 1908년(순종 2)에 복관되었다. 저서로 문집인 『겸재집』이 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
『경종실록』
『영조실록』
『국조방목』
『연려실기술』
『신임제요(辛壬提要)』
『동국붕당원류(東國朋黨源流)』
『당의통략(黨議通略)』
『청선고(淸選考)』
주석
주1

사촌 아우.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죄지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빼앗고 도성(都城) 밖으로 추방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3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그 사실을 널리 알리던 교서. 우리말샘

주4

벼슬을 빼앗고 내쫓음. 우리말샘

주5

새나 짐승을 그린 그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