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지 ()

목차
관련 정보
탐라지
탐라지
인문지리
문헌
제주목사 이원진이 전라도 제주목 · 정의현 · 대정현(현 서귀포 시 대정읍)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3년에 편찬한 읍지.
목차
정의
제주목사 이원진이 전라도 제주목 · 정의현 · 대정현(현 서귀포 시 대정읍)의 연혁 · 인문지리 · 행정 등을 수록하여 1653년에 편찬한 읍지.
내용

1책. 목판본. 이것은 제주목사 이원진이 편찬하고 제주도의 석학인 전적(典籍) 고홍진(高弘進)의 감교(監校)로 완성되었다.

이원진은 『성천지(成川誌)』를 편찬한 이상의(李尙毅)의 손자이다. 내용 구성은 제주·정의현·대정현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군현별로 첫머리에 강계(疆界) 및 정도(程途)가 서술되었다.

그리고 건치연혁(建置沿革)·진관(鎭管)·관원(官員)·읍명(邑名)·성씨(姓氏)·풍속(風俗)·형승(形勝)·산천(山川)·교량(橋梁)·토산(土産)·전결(田結)·성곽(城郭)·방호소(防護所)·수전소(水戰所)·봉수(烽燧)·궁실(宮室)·누정(樓亭)·창고(倉庫)·학교(學校)·향약(鄕約)·사묘(祠廟)·불우(佛宇)·장관(將官)·군병(軍兵)·공장(工匠)·노비(奴婢)·과원(果園)·목양(牧養)·의약(醫藥)·공헌(貢獻)·고적(古蹟)·명환(名宦)·인물(人物)·효자(孝子)·열녀(烈女)·제영(題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읍지는 이원진이 『동국여지승람』 및 김정(金淨)의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을 참고하고 도내 상황과 시문을 수집하여 만든 읍지이다.

이 책은 현전하는 제주도의 가장 오랜 읍지로서 이후 제주도에 관한 문헌들의 저본이 되었다. 또한, 17세기에 전국적으로 활발한 편찬을 보이는 사찬읍지의 전형을 지닌 책으로도 의의를 지닌다.

내용면에서 제주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인물·시문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특징을 매우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하여 17세기 중엽의 제주도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특히, 풍속조에는 외지인의 입장에서 본 제주도의 독특한 환경 및 풍습을 기록하였다.

즉 ‘풍속이 검소하고 예양이 있으며, 방언을 이해하기 힘들다. 밭머리에 무덤을 쓰되 풍수나 점을 사용하지 않고, 음사(淫祠: 부정한 귀신을 제사 지냄)를 받들며, 장수한 사람이 많다. 날씨가 항상 온난하며 산에 포악한 짐승이 없다.

또, 8월 15일은 남녀가 모여 조리희(照里戲: 남녀가 두 패로 갈라져 줄을 당겨 즐기는 놀이)를 즐기며 그물을 쓰지 않는다. 땅이 척박하고 주민들이 가난하다.

지붕에 띠를 엮지 않고 지붕 위에 쌓아 놓아 긴 나무를 가로 묶어 누른다. 돌을 모아 밭의 경계에 담을 쌓는다’는 등 제주의 독특한 풍습들이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토산조에는 제주도의 특산물인 귤의 종류와 맛, 품질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며, 과원조에도 각 과원에서 재배하고 있는 과수의 종류와 숫자를 명기하였다.

방호소는 특히 왜구가 내왕하는 요충지에 설치된 관방이며, 수전소는 전선(戰船)이 배치된 주요 포구와 그 시설들에 관한 기록으로 제주의 읍지에만 보이는 독특한 방어 시설 명칭이다.

창고조에도 각종 군기고(軍器庫) 및 거기에 보관된 병기류의 내역이 상세하게 실려 있다. 자연환경에 관련된 기록에도 주목할 내용이 많다.

특히 제주의 기후와 풍토, 그리고 산천조에 묘사된 사구(砂丘)의 형성과 이동 및 고적조에 실려 있는 화산의 폭발 기록 등은 날카로운 관찰과 함께 기존의 문헌들을 종합하여 잘 정리되어 있다.

규장각도서와 서울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것 외 개인소장본도 있다. 1976년 제주도교육위원회에서 편찬한 『탐라문헌집(耽羅文獻集)』에 번역, 수록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제주읍지로 허목(許穆)의 『탐라지(耽羅誌)』, 이형상(李衡祥)의 『남환박물(南宦博物)』, 정조대에 편찬된 『제주읍지(濟州邑誌)』·『제주대정정의읍지(濟州大靜旌義邑誌)』, 고종대에 편찬된 『제주군읍지(濟州郡邑誌)』·『대정군읍지(大靜郡邑誌)』·『정의군읍지(旌義郡邑誌)』가 있다.

기타 기행·일기·역사서류로는 정의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 김상헌(金尙憲)의 『남사록(南槎錄)』, 이건(李健)의 「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 김윤식(金允植)의 『속음청사(續陰晴史)』, 김석익(金錫翼)의 『탐라기년(耽羅紀年)』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제주지』
『탐라지』
『남환박물』
『제주읍지』
『제주대정정의읍지』
『제주군읍지』
『대정군읍지』
『정의군읍지』
『제주풍토록』
『남사록(南槎錄)』
『제주풍토기』
『속음청사』
『탐라기년』
『탐라문헌집』(제주도교육위원회, 1976)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양보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