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계사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파계사 전경
대구 파계사 전경
불교
유적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심지왕사가 창건한 사찰. 문화재자료.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심지왕사가 창건한 사찰. 문화재자료.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주1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804년(애장왕 5)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하였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하였다. 현응은 숙종의 부탁에 따라 세자의 잉태를 기원하며 농산(聾山)과 함께 백일기도를 하였는데, 백일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은 숙빈 최씨에게 현몽하고 세자로 다시 태어났다고 한다. 이 세자가 후에 영조로 즉위한다. 이때 숙종은 현응의 공을 높이 사서 파계사를 중심으로 둘레 40리에 걸쳐 나라에 내는 세금을 파계사에서 거두어 들이라는 명을 내렸다.

그러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 임금의 위패를 모시게 하여 달라고 청원하여 경내에 기영각(祈永閣)을 짓고 선조 · 숙종 · 덕종 · 영조 네 분의 위령을 모심으로써 지방 유생들의 행패를 막을 수 있었다. 그때 세워진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가 현재의 사적비 부근에 있으며, 전생에 농산화상이었던 영조가 11세에 썼다는 ‘玄應殿(현응전)’이라는 현판이 지금까지 성전암(聖殿庵) 법당에 걸려 있다. 또한, 1979년 6월 파계사 법당의 관음보살상을 주2할 때 불상 안에서 영조의 주3가 나와 학계의 관심을 끌었고,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주었다.

현존하는 주4로는 100여 평에 이르는 2층 누각인 진동루(鎭洞樓)가 198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2014년 보물로 지정된 원통전(圓通殿) 안에는 건칠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1989년 지정)을 비롯하여 원통전 수미단(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2015년 지정)이 있다. 그 동쪽에 종무소로 사용되는 적묵당(寂默堂)은 198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서쪽에 설선당(說禪堂)은 198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건물로서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원통전 뒤쪽의 기영각은 1984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건물로, 숙종 · 영조 · 정조 3대의 주5을 보관하고 있었기 때문에 어필각(御筆閣)이라고 불렸으나 지금은 어필이 전하지 않는다. 그 옆으로 산령각, 그리고 응향각(凝香閣)이 있으며, 응향각 동북쪽에는 미타전(彌陀殿)이 있다. 이 밖에도 이 절에는 영산회상도(보물, 1995년 지정)와 왕실 원당 관련 고문서(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2015년 지정) 등이 있으며, 법당 앞에 높이 2m의 8각 석등이 있고, 숙종의 하사품인 병풍 2개와 구슬 2개가 있으며, 절 서쪽 200m 지점에는 1648년(인조 26)에 세워진 원의(圓義), 1658년(효종 9)에 세워진 전명(傳明), 1701년(숙종 27)에 세워진 현응 등 세 대사의 부도와 비가 있다.

부속 암자로는 현니암(玄尼庵) · 금당암(金堂庵) · 성전암 · 칠성암(七星庵) 등이 있다. 이 중 성전암에는 조선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현응의 영정과 벽화가 있다. 또한, 성전암은 경상북도의 3대 수도도량 중 하나로서 널리 각광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전통사찰총서』14 대구 경북의 전통사찰1(사찰문화연구원, 2000)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6)
주석
주1

불교의 한 종파의 우두머리인 큰절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큰절에서 갈라져 나온 절. 우리말샘

주2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 우리말샘

주3

임금이 입던 옷. 우리말샘

주4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

임금이 손수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