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사일기 ()

목차
관련 정보
해행총재 / 조제곡해사일기
해행총재 / 조제곡해사일기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조엄이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조엄이 통신사 정사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내용

5권. 1763년(영조 39) 8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1년여의 기록이다.

크게 일기·수창록(酬唱錄)·서계(書契)와 예단(禮單), 왜인과 주고받은 글, 장계(狀啓)와 연화(筵話), 제문, 원역(員役)에게 효유(曉諭)한 글 및 금약조(禁約條), 일공(日供), 사행 명단 및 노정기(路程記), 통신사 내부의 군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기할 내용으로 일본과의 사행 내력을 소개했는데, 사신 명칭의 변혁, 통신사에 대한 조정의 예우 등을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또한, 고구마를 두 번이나 구입해 부산진에 심게 하고 그 저장법을 자세히 소개했으며, 대마도와 일본지도를 모사하게 하였다. 그리고 왜어물명(倭語物名)이 적힌 책의 오류를 역관에게 바로잡게 했으며, 무자위와 물방아의 제도를 자세히 살펴 그리도록 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수행원 최천종(崔天宗)이 대마도인 스즈키(鈴木傳藏)에게 피살된 사건이 발생하였다. 살인자 스즈키는 현지에서 처형하고 피살자의 장례 절차를 모두 기록, 본가에 전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학문 경향을 설명하고 이를 이단이라 지칭하였다.

수창록은 저자의 시뿐 아니라 부사·종사관·제술관·서기·군관(軍官)의 시나 이들과 화답한 시 300여 수를 수록했으며, 대부분 경치의 완상, 도학적 정신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서계와 예단은 조선국왕이 일본대군(日本大君)에게 보낸 서계와 일본관백(日本關白)이 조선국왕에게 회답한 글 등 14통, 양국 간에 주고받았던 공사예단(公私禮單)의 품목과 수량, 그리고 사행 및 수행원에게 나누어준 명세서로 되어 있다. 왜인과 주고받은 글에는 조선 사행이 일본에 체재하는 동안 주로 대마도주 등과 주고받은 필담이다.

연화는 귀국 후 연석(筵席)에서 사행을 비롯해 군신간에 있었던 대화이다. 제문은 해신(海神)·선신(船神)에 대한 제사와 최천종 제사 때의 글이다.

원역에게 효유한 글은 모두 10조로서 해당 업무와 벌칙을 규정하였다. 금약조는 모두 15조로서 주로 밀매 행위에 대한 엄금과 조선의 문화적 우위성을 내세운 내용이 많다.

일공이나 사행 명단 및 노정기의 군령(軍令 : 行船時 지켜야 할 戒律)이나 열선도(列船圖), 배의 방위를 표시한 행로방위(行路方位)는 다른 사행록에서 보기 드문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