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사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신라시대, 불교와 관련된 관청.
제도/관직
설치 시기
신라시대
내용 요약

공덕사(功德司)는 신라시대, 불교와 관련된 관청이다. 『삼국사기』에 공덕사는 여러 번 기록되어 있으나, 그 직능(職能)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기록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당나라 좌우가공덕사 등의 직능과 백제 공덕부(功德寶)의 성격을 참고하였을 때 신라의 공덕사 역시 승려와 불교 사찰 등을 관할하던 관청으로 짐작된다.

목차
정의
신라시대, 불교와 관련된 관청.
내용

공덕사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여러 번 기록되어 있으나, 그 직능(職能)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기록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삼국사기』 이외의 문헌이나 금석문 등에도 신라의 공덕사에 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의 자료, 주3, 『삼국유사』 등에 공덕사의 직능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당나라는 좌우가공덕사(左右街功德使), 동도공덕사(東都功德使), 수공덕사(修功德使) 등을 두어 승려들의 승적(僧籍), 불교 사찰의 건립 및 수리 등을 관장하게 하였다. 후에는 좌우가공덕사가 도사(道士)주2도 관리하였다.

『주서(周書)』 백제전에 의하면, 백제의 22부 중 공덕부(功德部)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내제석원(內帝釋院), 왕실의 원찰(願刹) 및 국가 사찰을 관할하는 부서로 이해하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신라 혜공왕 때에 김유신의 명복을 빌기 위해 공덕보(功德寶)를 설립하고, 토지 30결(結)을 취선사(鷲仙寺)에 주어 그 밑천으로 삼게 하였다. 당나라 좌우가공덕사 등의 직능과 백제 공덕부의 성격, 공덕보라는 표현 등을 참고하였을 때, 신라의 공덕사 역시 승려와 불교 사찰 등을 관할하던 관청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불교 관련 중앙행정관서로서 예부(禮部) 예하에 대도서(大道署), 내성(內省) 예하에 주4이 존재하였는데, 공덕사가 이들 관서와 어떠한 관계였는가를 알 수 있는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논문

김희만, 「『삼국사기』 직관지 미상조와 편찬자의 역사인식」(『신라문화』 49,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박수정, 「『삼국사기』 직관지 연구」(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주석
주1

집 따위를 지음.    우리말샘

주2

도교에서, 여자 도사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중국 당나라 때에, 영호덕분이 황제의 명에 따라 지은 북주의 역사서. 중국 이십오사의 하나이다. 50권.    우리말샘

주4

신라에서, 예부에 소속되어 사찰(寺刹)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바로가기

집필자
전덕재(단국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