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구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과 보문각(寶文閣)에 소속된 관직.
목차
정의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과 보문각(寶文閣)에 소속된 관직.
내용

제각(諸閣)에 학사직(學士職)과는 별도로 관구를 두었던 송제(宋制)를 참고하여 설치된 것으로 이해된다. 연혁은 분명치 않으나, 국자감의 경우 문종 때 제거(提擧)·동제거(同提擧) 등의 관직과 함께 2명의 관구를 두었다.

또 예종 때에는 보문각에도 관구와 함께 부관인 동관구(同管句)를 둔 바 있다. 주로 내시(內侍) 또는 내시 출신의 조관(朝官)이 이에 임명되었는데, 전임직이 아니라 타관으로서 이를 겸임하는 겸임직이었다.

이들의 정확한 직무는 잘 알 수 없으나, 소속 관사의 기능인 학문 연구와 교육 활동을 보조하는 행정적 사무, 특히 재정 업무를 주관하는 실무자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1145(인종 23)년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우승선(右承宣) 정습명(鄭襲明)과 내시 김충효(金忠孝)가 각각 관구 및 동관구로 참여한 일이 있고, 의종 때 흥왕사(興王寺)에도 내시로 임명된 관구가 있었던 점으로 보아 관구는 국자감이나 보문각만이 아니라 특정 임무의 수행을 위해 임시로 구성된 기구에도 두어졌던 관직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관구는 역시 행정적 사무를 담당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제거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시대 사학사 연구(高麗時代史學史硏究)」(정구복, 서강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5)
「高麗前期の寶文閣」(周藤吉之, 『朝鮮學報』 90, 1979; 『高麗朝官僚制の硏究』, 法政大學出版局, 1980)
집필자
김재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