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덕산 귀진사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서흥군 숭덕산에 있는, 고려시대 성수사의 한 원(院)으로 신축되어 조선 명종시 독립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귀진사는 12세기 중엽에 성수사의 암자로 건립되었다. 조선 중기 고승 허응 보우가 대장경각을 짓고 불경을 간행하면서 독립된 사찰로 중창하였다.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중수(重修)되고 그 이후 몇 차례의 보수가 있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정방산 성불사의 말사(末寺)였다. 극락전을 중심 건물로 하고 주악루, 심검당, 동선당, 서승당, 향로전, 칠성각, 관음대와 칠층탑 등이 있었다.

키워드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서흥군 숭덕산에 있는, 고려시대 성수사의 한 원(院)으로 신축되어 조선 명종시 독립된 사찰.
내용

귀진사는 『황해도 향토지(黃海道鄕土誌)』에 의하면 12세기 중엽에 성수사(星宿寺) 의 주1로 건립되었다. 조선 중기 고승 허응 보우(虛應普雨)가 대장경각을 짓고 불경을 간행하면서 독립된 사찰로 주2. 당시 간행된 경전으로는 1546년(명종 원년)에 『법화경별(法華經別)』, 1554년(명종 9년)에 주3이 있으며 1557년(명종 12년)에 『금강경(金剛經)』이 간행되었다. 특히 1563년(명종 18)에 보우의 지시에 따라 귀진사 주지가 한자 자전(字典)주4을 간행하였다. 그 외에도 『수륙문(水陸文)』, 주5판목(板木) 2,000여장을 보관하고 있었다고 한다. 1563년에 『용감수경』 개판시 “귀진사 ○○전 중창(歸眞寺○○殿重創)”이라고 되어 있다. 극락전 천장에서는 1928년 『용감수경』, 『화엄사(華嚴寺)』, 『사십이장경』, 『십지론(十地論)』 등이 발견되었는데 그 대부분이 일본인에 의해 약탈당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나머지는 현재 묘향산박물관 묘향산 보현사 보존고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북한 인쇄기술 발전 역사를 연구하는 데서 귀중한 자료가 되는 『용감수경』 판목은 1928년에 귀진사 극락전의 천정을 보수할 때 발견되었는데 1931년 일제가 약탈해 갔다. 남아 있던 일부 판목은 묘향산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709년(숙종 35년) 쓰여진 「귀진사사적비」에 의하면 귀진사는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에 중수(重修)되고 그 이후 몇 자례의 보수가 있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정방산 성불사주7였다. 본래 귀진사에는 극락전을 중심 건물로 하고 주악루, 심검당, 동선당, 서승당, 주6, 칠성각, 관음대와 칠층탑 등이 배치되어 있었다. 귀진사는 조선 초기의 발전된 건축술이 반영되어 있으며, 당시 건축술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과거에는 칠성각, 향로전, 동선당, 서선당, 정광 여래 칠층사리탑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절이 있는 숭덕산 산정에서는 신선이 놀았다고 전해지며, 그들이 마셨다는 샘물이 있다. 도승 묵대사(默大師)와 산신령 사이에 있었던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

단행본

『가산불교대사림』 3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북한사찰연구』 (사찰문화연구원, 1992)
『인물의 고향』 (중앙일보사, 1991)
『황해도지』 (황해도, 1970)
주석
주1

큰 절에 딸린 작은 절. 우리말샘

주2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짓다. 우리말샘

주3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4

997년에 중국 요나라의 승려 행균(行均)이 펴낸 자전(字典). ≪설문 해자≫, ≪옥편≫ 따위의 책에서 26,430여 자를 뽑아 한자를 부수에 따라 분류하고, 부수의 글자를 사성에 따라 분류하여 각 글자 밑에 정(正)ㆍ속(俗)ㆍ고(古)ㆍ금(今)의 자체(字體)를 나열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의 목각본 1권, 3권, 4권만이 전한다. 4권의 인본(印本). 우리말샘

주5

중국에 전래된 최초의 경전. 출가 후의 학문의 도리와 일상생활에 관한 교훈을 적은 책이다. 1권. 우리말샘

주6

절에서, 불전에 향을 공양하는 승려가 기거하는 건물. 우리말샘

주7

불교의 한 종파의 우두머리인 큰절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큰절에서 갈라져 나온 절. 우리말샘

집필자
황인규(동국대 역사교육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