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한 사찰.
내용

‘대봉은사’라고도 한다. 951년(광종 2)에 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이다. 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창건 이후 1032년(덕종 1)과 1142년(인종 20)·1180년(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종 21)의 몽고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이 절의 태조 진영을 봉안한 곳은 효사관(孝思觀)이라 하였다가 1373년(공민왕 22)에는 경명전(景命殿)이라 개칭하였다.

태조의 진영을 둔 이 절은 국가의 크고 작은 일이 있을 때마다 왕들이 행차하여 기도를 올렸다. 1038년(정종 4)에는 정종이 연등행사 때 제일 먼저 이 절에 들렸으며, 1354년에는 천재가 심하였으므로 그 제액(除厄)을 태조 진전에 기도하였다.

1357년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려 하였을 때도 이곳에서 점을 쳤으며, 북원(北元)이 토도부카를 왕으로 옹립하고자 할 때, 이인임(李仁任) 등 고려의 백관들이 태조 진전에서 반대의 뜻을 맹세하기도 하였다.

1389년(공양왕 1)에 우왕과 그 소생 창왕 등을 신돈의 소생이라 하여 폐위시킬 때 고축문(告祝文)을 읽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또 이 절에는 홍법(弘法)·도융(圖融)·혜소(慧炤)·지광(智光)·원경(元景)·담진(曇眞)·낙진(樂眞)·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고승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왕사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여 정례(頂禮: 이마를 땅에다 대고 가장 공경하는 뜻으로 하는 절)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사찰전서』상(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송도의 고적』(고유섭, 열화당, 1977)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