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

목차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한 사찰.
내용

‘대봉은사’라고도 한다. 951년(광종 2)에 태조의 원당(願堂)으로 창건한 국찰이다. 태조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곳으로 고려시대의 절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창건 이후 1032년(덕종 1)과 1142년(인종 20)·1180년(명종 10) 등 세 차례에 걸쳐서 중수하였고, 1234년(고종 21)의 몽고병란으로 강화도로 천도하였을 때에는 차척(車倜)의 집을 봉은사로 쓰다가 환도한 뒤 다시 중건하였다.

이 절의 태조 진영을 봉안한 곳은 효사관(孝思觀)이라 하였다가 1373년(공민왕 22)에는 경명전(景命殿)이라 개칭하였다.

태조의 진영을 둔 이 절은 국가의 크고 작은 일이 있을 때마다 왕들이 행차하여 기도를 올렸다. 1038년(정종 4)에는 정종이 연등행사 때 제일 먼저 이 절에 들렸으며, 1354년에는 천재가 심하였으므로 그 제액(除厄)을 태조 진전에 기도하였다.

1357년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려 하였을 때도 이곳에서 점을 쳤으며, 북원(北元)이 토도부카를 왕으로 옹립하고자 할 때, 이인임(李仁任) 등 고려의 백관들이 태조 진전에서 반대의 뜻을 맹세하기도 하였다.

1389년(공양왕 1)에 우왕과 그 소생 창왕 등을 신돈의 소생이라 하여 폐위시킬 때 고축문(告祝文)을 읽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또 이 절에는 홍법(弘法)·도융(圖融)·혜소(慧炤)·지광(智光)·원경(元景)·담진(曇眞)·낙진(樂眞)·보우(普愚) 등 고려시대의 고승들이 이곳에 주석하면서 이름을 빛내었다.

그들은 이 절에서 국사·왕사의 직위를 받았으며, 이곳에 주석하면서 경을 설하고 선(禪)을 논하는 법회를 베품으로써, 이 절은 다른 절에서 볼 수 없는 성황을 이루었다.

보우가 이곳에 머물 때에는 공민왕과 노국공주가 친히 행차하여 정례(頂禮: 이마를 땅에다 대고 가장 공경하는 뜻으로 하는 절)하고 승려 300여 명에게 백포(白布) 2필과 가사(袈裟) 1령씩을 하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로 접어들면서 점차 퇴락하여, 중기 이후에는 그 위치조차 어딘지 모르게 되었다. 또한 절의 건축구조나 가람 배치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사찰전서』상(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송도의 고적』(고유섭, 열화당,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