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환 ()

근대사
인물
3·1운동 당시 「독립의견서」, 「독립청원서」 등을 상하이의 현순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독립운동가.
이칭
일천(一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2년
사망 연도
1972년
본관
연안(延安)
출생지
평안북도 정주
주요 경력
북부교회 전도사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관련 사건
3·1운동
내용 요약

김지환은 3 · 1운동 당시 「독립의견서」, 「독립청원서」 등을 상하이의 현순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 · 1운동 당시 파리평화회의에 보낼 「독립의견서」와 미국 윌슨대통령에게 보낼 「독립청원서」, 그리고 민족 대표들의 서명을 날인한 문서를 상하이에 미리 파견되어 있는 현순에게 우편으로 보내는 임무를 맡았다.

정의
3·1운동 당시 「독립의견서」, 「독립청원서」 등을 상하이의 현순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독립운동가.
인적사항

김지환(金智煥, 1892~1972)은 평안북도 정주 출신으로, 본관은 연안(延安), 호는 일천(一泉)이다.

주요 활동

정주 주1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간사이대학〔關西大學〕 신학부에서 공부하였다. 졸업 후 귀국하여 개성에서 북부교회 전도사로 활동하였다.

1919년 2월 22일에 민족 대표의 한 사람인 오하영(吳夏英)이 개성으로 찾아와 기독교계가 일본 정부에 제출하려는 독립청원서에 서명할 사람들을 모으자는 제안을 하자 이에 찬성하였다. 2월 27일 경성(지금의 서울특별시)의 이필주 목사 사택에서 1차로 선발된 기독교계 민족 대표 11명에 5명을 추가로 선정할 때 예정자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2월 28일 이승훈함태영으로부터 주2에 보낼 「독립의견서」와 미국 윌슨대통령에게 보낼 「독립청원서」, 그리고 민족 대표들의 서명을 날인한 문서를 건네받고 이를 중국 상하이〔上海〕에 있던 현순(玄楯)의 처에게 우편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먼저 만주 안동현(安東縣)에 있는 김병농 목사를 만나기로 하였다.

3월 1일 서울 남대문역(지금의 서울역)을 출발하여 신의주에 도착하였으나, 경찰의 감시가 심하여 걸어서 압록강 철교를 건너 단둥〔丹東〕에 도착하였다. 김병농 목사에게 우편물 발송을 부탁하러 갔으나 마침 집에 없어 아들에게 발송을 부탁한 뒤 서울로 돌아오기 위해 도보로 남만주의 백마역에 이르러 기차를 기다리다가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3년간 복역하다가 1920년 10월에 무죄 석방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찬승, 『1919 대한민국의 첫번째 봄』(다산초당, 2019)
주석
주1

1907년에 이승훈이 평안북도 정주에 세운 학교. 민족정신을 고취하고 독립운동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하였으며, 광복 후 서울의 오산 중ㆍ고등학교가 되었다.    우리말샘

주2

1919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을 위하여 승전국들이 파리에서 개최한 강화 회의. 미국ㆍ영국ㆍ프랑스의 3국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일과 베르사유 조약을, 오스트리아와 생제르맹 조약을, 불가리아와 뇌이 조약을, 헝가리와 트리아농 조약을, 터키와 세브르 조약을 체결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인(춘천교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