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생서 ()

목차
관련 정보
성소부부고 / 답이생서
성소부부고 / 답이생서
한문학
작품
1610년(광해군 2)경에 허균(許筠)이 고려와 조선의 한시 작가를 총평하는 내용으로 쓴 서간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610년(광해군 2)경에 허균(許筠)이 고려와 조선의 한시 작가를 총평하는 내용으로 쓴 서간문.
개설

한문필사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10 문부(文部)7에 수록되어 있다. 시 평론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다.

내용

이 글은 5단락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단락에서는 「유우중문시(遺于仲文詩)」와 「치당태평송(致唐太平頌)」의 작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신라말 최치원(崔致遠)의 시와 문을 비판하였다.

둘째 단락에서는 고려시대 정지상(鄭知常)의 시를 평하고, 이인로(李仁老)·이규보(李奎報)·진화(陳澕)·홍간(洪侃)의 시가 소식(蘇軾)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였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제현(李齊賢)이 창시하여 이곡(李穀)·이색(李穡)이 그 뒤를 이었으며, 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김구용(金九容)이 고려 말엽의 명가라 하였다.

셋째 단락에서는 조선 초기의 문단은 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이 독차지하였고, 중흥의 공은 이색에 있다고 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은 정몽주와 권근의 문학을 계승하였으나 문학적 경계가 좁다고 보았고, 이행(李荇)과 신광한(申光漢)·정사룡(鄭士龍)이 훌륭하다고 하였다.

넷째 단락에서는 당시의 문인 중 산문에는 최립(崔笠), 시에는 이달(李達)과 친구인 권필(權韠)·이안눌(李安訥)을 거론하였다.

다섯째 단락에서는 자신의 가학연원이 이색에 있음을 말하였다. 허균의 형 허봉(許篈)과 누이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문학은 가학에서 얻은 것이며, 아버지 허엽(許曄)은 김안국(金安國)에게 배웠고, 김안국은 성현(成俔)으로부터, 성현은 형 성간(成侃)과 김수온(金守溫)에게 배웠으며, 두 사람은 유방선(柳方善)의 제자인데 유방선은 이색의 제자였다.

이색은 원나라에 가서 우집(虞集)과 구양현(歐陽玄)에게 배웠다. 구양현은 강서인으로, 문천상(文天祥)·사방득(謝枋得)을 섬겼으므로 범성대(范成大)·양만리(楊萬里)·왕안석(王安石)·증공(曾鞏)·구양현·황정견(黃庭堅)의 영향을 받아 이색에게 전수하였으므로, 조선조 문학은 이색으로부터 발원하였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답이생서」는 한편의 서간이지만 한국의 시인 42인을 정확하고 조리 있게 논평하였으므로, 허균의 『성수시화(惺叟詩話)』와 함께 평론으로 다루어야 할 작품이다. 그리고 작자 자신의 가학연원을 서술하였으므로 작가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되며, 또한 우리나라의 한시사를 정리하는 데 빼어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허균전집(許筠全集)』(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1975)
「답이생서연구(答李生書硏究)」(손팔주, 『연민이가원박사육질송수기념논총』, 범학도서, 1977)
「허균(許筠)의 답이생서추의(答李生書趨議)」(손팔주, 『수련어문논집』3, 부산여자대학국어교육과, 1975)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