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필 ()

한문학
인물
조선 중기의 시인.
이칭
여장(汝章)
석주(石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9년
사망 연도
1612년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한양
주요 저서
석주집(石洲集)
주요 작품
주생전(周生傳), 궁류시(宮柳詩)
관련 사건
1612년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권필(權韠)은 조선 중기의 시인이다. 본관은 안동. 자는 여장, 호는 석주이다. 선조 때 활동했던 시인으로, 목릉성세(穆陵盛世)로 일컬어졌던 당대 문단에서 이안눌과 함께 ‘이재’로 불렸다. 호방하고 매사 얽매이지 않는 성품을 지녔으며, 당나라 시대 시풍의 낭만적 서정과 당대 현실을 풍자한 사회성 높은 시를 많이 남겼다. 그의 저술로 『석주집』과 한문소설 「주생전」이 현재 전해진다.

정의
조선 중기의 시인.
개설

권필(權韠)은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여장(汝章), 호(號)는 석주(石洲)이다. 승지 권기(權祺)의 손자이며, 습재(習齋) 권벽(權擘)과 경주 정씨 사이에서 난 다섯째 아들이다.

생애와 작품

석주 권필은 정철(鄭澈)의 제자로, 성격이 자유분방(自由奔放)하고 구속받기 싫어하여 벼슬하지 않은 채 야인(野人)으로 일생을 마쳤다. 선조 때 시인으로 목릉성세(穆陵盛世)로 일컬어지는 당대 문단에서 이안눌(李安訥)과 함께 ‘이재(二才)’로 불렸다.

젊었을 때에 이안눌과 함께 평안북도 강계에서 귀양살이하던 정철을 찾아갔다. 19세에 과거 시험을 보았는데 초시(初試)복시(覆試)에 장원(壯元)을 하였다. 그러나 글자 하나를 잘못 적은 일로 인해 내쫓김을 당하자, 술과 시로 나날을 보냈다. 그러다가 권필의 부인이 그에게 금주를 권하자, 권필은 「관금독작(觀禁獨酌)」을 지었다.

권필은 동료 문인들의 추천으로 제술관(製述官) · 동몽교관(童蒙敎官) 등에 임명되었으나 끝내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강화에서 송희갑(宋希甲) 등 많은 유생(儒生)을 가르쳤다.

권필은 시를 짓는 재능이 뛰어났다. 이 때문에 그는 1601년(선조 34) 원접사(遠接使) 이정귀(李廷龜)의 추천을 받아, 1602년(선조 35) 명나라 사신 고천준(顧天埈) · 최정건(崔廷健)이 왔을 때 백의제술관(白衣製述官)으로 참여했다. 그리고 1606년(선조 39) 주지번(朱之蕃)과 양유년(梁有年)이 중국 사신으로 왔을 때는 한강 접빈(接賓)에 참여하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구용(具容)과 함께 주전론(主戰論)을 강경하게 주장했다. 광해군 초에 권신(權臣) 이이첨(李爾瞻)이 권필에게 서로 가깝게 지내길 청했으나, 권필은 이를 거절했다.

한편 임숙영(任叔英)이라는 인물이 과거 시험의 「책문(策文)」에서 전란 후의 현실에 대한 분노와 저항을 표출하면서, 유희분(柳希奮) 등 권신들이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에 대해 공격했다가, 광해군의 뜻을 거스르게 되어 삭과(削科)된 일이 있었다. 이 사실을 들은 권필은 분함을 참지 못하여 「궁류시(宮柳詩)」를 지어서 이를 풍자(諷刺)하고 비방하였다. 이 때문에 광해군이 크게 화를 내며 시의 출처를 찾았다. 그러던 중 1612년 김직재의 옥에 연루된 조수륜(趙守倫)의 집을 수색하다가, 권필이 조수륜과 연관되었음이 밝혀졌다. 이로 인해 권필은 전라남도 해남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고, 귀양지로 가던 도중 동대문 밖에서 그를 동정하는 행인들에게 받은 술을 폭음(暴飮)했다가 이튿날 44세로 죽었다.

시를 짓는 재주가 뛰어나 자기성찰을 통한 울분과 갈등을 토로하고, 잘못된 사회상을 비판 풍자함으로써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호방하면서 어딘가에 얽매이지 않는 성품으로, 중국 당나라 시풍의 낭만적인 서정과 당대 현실을 풍자한 사회성 높은 시를 많이 남겼다는 평을 듣는다. 『석주집』과 한문소설 「주생전」이 현재 그의 저서로 전해진다.

상훈과 추모

인조반정 이후 사헌부지평에 추증(追贈)되었고, 전라남도 광주(光州) 운암사(雲巖祠)에 모셔졌다. 그의 묘는 경기도 고양시 위양리에 있으며, 묘갈(墓碣)은 송시열(宋時烈)이 지었다.

참고문헌

원전

『석주집(石洲集)』
『광해군일기』
『연려실기술』
『명재유고(明齋遺稿)』
『송자대전(宋子大全)』
『청창연담(晴窓軟談)』

단행본

정민, 『목릉문단과 석주 권필』(태학사, 1999)
정민 역, 『석주집(石洲集)』(태학사, 2009)

논문

소재영, 「석주권필소론」(『숭전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6, 숭실대학교, 1976)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itkc.or.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