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 각 군영의 최고위 지휘관.
제도/관직
설치 시기
1868년
소속
삼군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장(大將)은 조선 말기, 각 군영의 최고위 지휘관이다. 원래 조선시대에 각 군영의 최고위 지휘관의 직책이었다.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시기와 임오군란 직전까지 각 군영의 최고 지휘관으로 훈련대장, 여영대장, 금위대장, 장어대장 등을 말한다. 이후 갑오개혁 직전까지는 각급 군영의 영사가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정의
조선 말기, 각 군영의 최고위 지휘관.
설치 목적

1868년에 흥선대원군삼군부(三軍府)를 설치하고 유사당상으로 훈련대장(訓鍊大將), 어영대장(禦營大將), 금위대장(禁衛大將)을 두었다. 삼군부는 당시 최고의 군령 기관으로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에게 강화도와 한강 일대를 무단으로 침략당한 이후 군사를 양성하고 무기를 제조하여 군사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삼군부는 유명무실한 군사 기구로 전락하였다가 1880년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흥선대원군이 정계에서 물러난 이후 고종은 1874년 6월 무위소(武衛所)를 설치하고 훈련대장이 이를 지휘하게 하였으며, 7월에는 금위대장 조영하에게 무위도통사를 겸임시켰다.

그러나 무신들의 지위와 그들에 대한 우대는 흥선대원군 집권기에 비해 약화되었다. 그러던 중 1882년 2월, 종래의 5군영 체제를 무위영장어영의 2군영 체제로 개편하고 초대 무위대장에는 이경하, 장어대장에는 신정희가 임명되었다. 그러나 임오군란 이후 대원군이 일시 재집권하면서 다시 5군영 체제로 복귀하였지만 군란 실패 이후 친군영 체제로 재편되었다.

변천사항

이같은 군제의 변화 과정에서 종래의 대장은 영사(營使) 등으로 호칭이 변경되었다. 대한제국 시기 원수부(元帥府)의 각 급 부장 또는 총장(摠長)이 이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9), 근 · 현대 I(경인문화사, 2012)
배항섭, 『19세기 조선의 군사제도 연구』(국학자료원, 2002)
최병옥, 『개화기의 군사정책 연구』(경인문화사, 2000)
집필자
조재곤(서강대 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