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복호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ㆍ이서면ㆍ백아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전용의 호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ㆍ이서면ㆍ백아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전용의 호수.
개설

광주광역시에 상수원수를 공급함은 물론 수문장치 없는 길이 80m의 일류(溢流)댐과 측구식 여수로를 통해 초당 1,570㎥의 용량을 흘려보냄에 따라 하류지역의 홍수를 조절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자연환경

만수면적 6.6㎢, 총저수량은 9,900만㎥이고, 유역면적은 189㎢로서 총저수용량은 9천9백5십만 톤에 이르며, 연간 용수공급량은 1억 1천 7백만 톤에 이른다. 1일 10만5천㎥의 상수원수를 광주광역시에 공급한다.

무등산에서 흘러내린 물은 광주방면으로 광주호를 만들고, 화순 방면으로는 동복호를 만든다. 광주호는 영산강 수계이고 동복호는 섬진강 수계이므로 무등산은 동서로 남도의 2대 강인 영산강과 섬진강을 이루는 산이라 할 수 있다.

형성 및 변천

광주광역시의 상수도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1971년 높이 19.3m, 길이 133.8m의 댐을 동복면 고소치에 건설함으로써 등장된 인공호이나 상수도 용수 수요의 증가에 대처하기 위하여 1985년 7월 옛 동복댐에 높이 44.7m, 길이 188.1m의 국내 최초의 콘크리트 표면차수형석괴댐(Concrete Faced Rockfill Dam)으로 개축되면서 지금의 동복호가 이루어졌다.

현황

수려한 호반에다 주위에 물렴적벽과 노루목적벽과 같은 경승지와 은행나무숲(천연기념물, 1982년 지정)이 있어 해마다 많은 관광유람객이 찾아든다. 다만 노루목 적벽은 댐 수위를 높이면서 반쯤 물에 잠기고, 상수원보호구역 안에 포함되어 일반인의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밖에 광주광역시의 상수원은 1920년 설치된 증심사 입구의 제1수원지, 무등산장 입구의 제4수원지, 너릿재터널 왼쪽의 무등산 용추폭포 아래의 제2수원지, 장성의 황룡강에 복류수와 광역상수도인 주암호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댐』(한국수자원공사, 2002)
『광주시상수도동 복계통확장사업준공보고서(光州市上水道同 福系統擴張事業竣工報告書)』(한국종합기술공사, 1985)
『한국(韓國)의 댐』(건설부, 1973)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http://water.gjcity.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