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복호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 이서면 · 백아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 전용의 호수.
지명/자연지명
면적
6.61㎢,
높이
44.7m
길이
188m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백아면, 동복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복호는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이서면·백아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 전용의 호수이다. 상수도 전용의 수원지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서리에 위치한 동복댐은 동복천을 가로막아 건설되었으며, 광주광역시의 상수도 용수원으로 광주광역시에서 건설, 운영하고 있다. 동복댐은 1968년~1970년에 광주시가 광주 시민을 위한 상수도원으로 완공하였으나, 수원의 부족으로 광주광역시가 확장 공사를 1985년 준공하였다.호수 떄문에 화순의 유명한 적벽 등이 잠기게 되었다.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 이서면 · 백아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 전용의 호수.
자연환경

동복호 주변의 지질은, 백아산 동쪽은 시대 미상의 편마암류가 분포하고, 화순군곡성군 경계를 이루는 차일봉(566m) 일대는 화강암질 주1이 분포한다. 동복천 연안의 북동남남서, 북남 방향으로 발달한 단층선을 따라서 고생대의 운옥리층, 우산리층, 천운산층이 분포한다. 서쪽의 동복천 연안을 따라서 남북 방향으로 주2 주3의 장동 주4, 적벽(赤壁) 응회암, 무등산 용암, 옹성암 주5이 분포한다. 동복천과 동복천의 지류 연안에는 주6이 소규모로 분포하고 있다. 백아산 일원에는 운옥리층으로 석회암이 분포하여 화순군 북면 수리 지역에는 종유 동굴 등이 있고, 과거 석회석 광산이 있었다.

동복호의 하천 현황을 보면 화순군 동복면 동복천 중상류역에 자리한 식수원 수원지인 동복호는 주 하천은 적벽강이라 불리는 동복천이다. 화순군 백아면(구 북면)의 백아산과 차일봉 사이 송단리 안골에서 발원하여 담양군 대덕면 용대리에서 발원하는 대덕천과 백아면 맹리에서 합류하고 담양군 창평면 외동리에서 발원하는 남천은 백아면 임곡리에서 합류한다. 그 외 백아면의 길성천과 내북천이, 무등산 남쪽에서 발원하는 이서면의 장복천과 안심천을 합수한 이서천이 동복호로 집수된다. 따라서 동복호의 주7은 담양의 대덕면과 가사문학면(구 남면)의 일부와 화순군 북면과 이서면을 포괄하고 있다.

동복댐 주변의 연평균 강수량은 948㎜이며, 하계 다우 동계 건조형 강수 패턴을 보이고 있어 6월~8월에 집중된 모습을 보인다. 1년 중 강수 일수는 80일이며, 일일 최대 강수량은 97㎜이다. 댐 주변의 연평균 기온은 약 15℃로, 동복댐 건설에 따른 기온 변화와 저온화 현상으로 매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변천과 현황

동복호를 만든 동복댐은 광주광역시 상수도의 수원용 댐으로 광주광역시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20㎞ 떨어진 화순군 이서면 서리 동복천에 위치한다. 1971년 광주시가 댐의 직상류에 높이 19.3m, 길이 133.8m의 구 동복댐을 건설하였으나, 상수도 용수 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가 1982년 11월 확장 공사를 착공하여, 1985년 7월 준공하였다. 당시 확장 공사로 화순군 이서면 10여 개 마을과 일부 지역이 수몰되었고, 수몰 면적은 6.6㎢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화순군의 관광 명소였던 적벽 일대가 물에 잠기게 되었고, 담수어의 어획도 제한을 받게 되었다. 동복댐은 국내 최초의 콘크리트 표면 차수형 록필 댐(rock fill 주8으로 높이 44.7m, 길이 188m, 부피 42만㎥, 유역 면적 189㎢, 생산 시설 32만㎥이며, 주9는 높이 171m로서 3m의 여유고를 보유하고 있다. 동복호는 만수 면적 6.61㎢, 총저수 용량 99.53㎢, 유효 저수량 92㎢로 1일 25만㎥의 상수도용 원수를 공급한다. 수원지로 보호되는 동복호는 국가 명승 112호이고, 화순 8경 중 제1경인 적벽을 안고 있는 호수로도 유명하다. 화순 적벽은 동복호 주변 크고 작은 절벽이 말하는데 그 중 동복호 동쪽에 나란히 있는 화순 적벽, 이서 적벽(노루목, 장항)과 물염정이 있는 물염 적벽과 바로 근처의 창랑 적벽, 호수 한 가운데 반도 끝에 있는 보산 적벽 등이 빼어나다. 특히 물염 주10을 바라볼 수 있는 물염정(물염로 161)은 물염공 송정순이 16세기 중엽에 건립한 정자로 유명한 김삿갓 시비가 있는 곳으로 동복호 초입의 동복천변에 있다.

1971년 광주지역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해 조성된 동복호는 1986년 광주시가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관리 주체를 놓고 화순군과 광주시 간 갈등을 빚었다. 광주광역시는 상수도 보호구역인 동복호 일대 출입을 제한했고, 화순군은 재산권 행사, 관광 명소인 화순 적벽 활용 등을 위해 관리권 이양을 요구해 왔다가 2022년 11월에 양측이 상생 협약을 맺음으로써 화순 적벽은 상시 개방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우리 ᄀᆞ람 길라잡이』 (한국수자원공사, 2002)
『한국(韓國)의 댐』 (한국수자원공사, 2002)

인터넷 자료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http://water.gjcity.net)
디지털화순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hwasun)
화순군청(https://www.hwasun.go.kr)

기타 자료

“광주지역 식수원 화순 동복댐 관리권 이양…19년 갈등 해결”, 『한겨레신문』 (2022. 11.1)
주석
주1

반드시 장석을 포함하고, 석영ㆍ운모ㆍ각섬석 따위로 이루어진 변성암. 수성암과 화성암의 두 종이 있는데, 운모가 조각 모양으로 섞이고 다른 광물도 줄무늬를 이룬 것이 화강암과 다르다. 우리말샘

주2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3

중생대를 3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지질 시대. 약 1억 4,500만 년 전부터 6,500만 년 전까지의 시대를 말한다. 우리말샘

주4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5

퇴적암의 하나. 크기가 2mm 이상인 자갈 사이에 모래나 진흙 따위가 채워져 굳은 것으로, 자갈이 전체의 30% 이상이어야 한다. 우리말샘

주6

비교적 최근에 하천의 활동에 의하여 자갈, 모래, 진흙 따위가 쌓여 이루어진, 아직 굳지 아니한 퇴적층. 우리말샘

주7

일정한 강이나 바다, 호수를 기준으로 그곳으로 물이 모여드는 구역. 우리말샘

주8

큰 암석을 쌓아 올리고 흙을 발라 물을 막는 댐. 상류면(上流面)에 콘크리트를 바르거나 댐 속에 점토 벽을 쌓아 보강한다. 우리말샘

주9

하천의 수위 중에서 몇 년에 한 번씩 발생할 정도의 홍수 때의 수위. 배수 계획이나 치수 공사의 계획을 세울 때에 기준이 된다. 우리말샘

주10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수직 절벽. 붉은빛을 띈 옹성산(瓮城山)의 절벽과 인근의 하천이 어우러져 경관이 매우 아름답다. 우리나라 명승인 ‘화순 적벽’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