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담(笑譚) 중 우행담(偶幸譚)에 속하며, ‘사신 간의 수문답(手問答)’ 또는 ‘떡보 얘기’라고도 한다.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오리엔트 지역에서 기원된 것으로 보이며, 아라비어로 쓰여진 「40인의 대신」에서 국왕 옆에서 기독교 수도사와 회교 수도승이 문답하는 내용이 있다. 유럽에서는 15세기 전반에 이탈리아의 승정 앙 · 루이스의 「좋은 인연」 중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논쟁, 그리고 16세기 프랑스의 작가 라블레의 「팡타그뤼엘 이야기」에서 영국인이 수화로 논쟁하는 내용이 있다.
중국은 7세기 중엽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나타나며, 이를 번역하여 수록한 11세기 일본의 『금석물어(今昔物語)』, 12세기말~13세기초 『우치습유물어(宇治拾遺物語)』 가 있다.
우리나라 문헌설화는 17세기 초의 유몽인(柳夢寅)의 『어우야담』과 19세기 말 이후의 문헌으로 보이는 『이언총림(俚諺叢林)』에 수록되어 있다. 전국적으로 전승되고 있으며, 서울 · 경기도 · 충청북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등지에서 특히 많이 채록된 바 있다.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중국에서 조선의 인재를 시험하려고 사신을 보냈다. 조선에서는 전국에 인재를 모집했으나 응모자가 없어 근심하던 터에, 떡보가 떡이나 실컷 먹어 보려고 자원하였다. 사신과 떡보가 만나서 수화로써 문답하였다.
사신이 하늘이 둥글다는 뜻으로 손가락을 둥글게 해 보이자, 떡보는 사신이 둥그런 떡을 먹었느냐고 묻는 줄로 알고 자기는 네모난 떡을 먹었다는 뜻으로 손가락을 네모나게 해 보이니, 사신은 떡보가 땅이 네모지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놀란 사신은 다시 삼강(三綱)을 아느냐는 뜻으로 세 손가락을 들어 보이자, 떡보는 사신이 떡 세 개를 먹었느냐고 묻는 줄로 알고 자기는 다섯 개를 먹었다는 뜻으로 다섯 손가락을 들어 보였다. 사신은 이를 오륜(五倫)도 안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거듭 놀란 사신이 염제(炎帝)를 아는가 하는 뜻으로 수염을 쓰다듬자, 떡보는 사신이 떡을 맛있게 먹었다고 말하는 줄로 알고 자기는 떡을 배불리 먹었다는 시늉으로 배를 쓰다듬었다.
사신은 그것을 보고 이번에는 떡보가 복희(伏羲)도 안다고 말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 결국 사신은 조선에 인재가 많다고 놀라 돌아가고, 떡보는 나라에서 상을 받았다.
비슷한 내용을 갖춘 유럽의 「승정과 유대인의 수문답」과 일본의 「벙어리 문답」 등은 종교적 의미가 농후한 반면, 우리의 설화는 질문자와 응답자가 국가와 민족을 대표하여 대결하고 있어서 민족의식이 부각되어 있다.
대화 내용을 ‘ 천원지방(天圓地方)’ · ‘ 삼강오륜’으로 풀이하는 것은 우리나라 외에는 나타나지 않아 한국적인 특성이 잘 드러난다.
또한, ‘염(炎)’과 ‘염(髥)’, ‘복(伏)’과 ‘복(腹)’이라는 동음이의어를 활용하여 염제를 '수염'으로 복희를 '배(腹)'로 받아들이고 있는데 한국의 고유한 변용으로 볼 수 있다.
주인공이 떡보 외에 떡장수 · 천부(賤夫) · 상인 등으로 나타나는데, 모두 무식한 평민이라는 점은 같으며, 대화가 수화 대신 시화(詩話)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으나, 변이에 따른 내용상의 차이는 없다.
과거 지배 계급은 중국을 대국으로 인식하고 자신을 낮추었지만, 오히려 이 설화의 향유층인 하층 계급의 민중들은 중국에 대한 지배층의 복종적 태도에 반발하고 민족적 자부심과 스스로의 역량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