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경술의기 ()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적이 찬한 『무량수경』의 주석서.
이칭
이칭
무량수경술기(無量壽經述記)
문헌/고서
저자
의적
권책수
2권
내용 요약

『무량수경술의기』는 신라 승려 의적(義寂)이 『무량수경』을 풀이한 글이다. 『무량수경』 전체의 분단을 서분(序分)·정종분(正宗分)·유통분(流通分)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고 있다. 이는 신라의 승려 현일(玄一)의 십분과(十分科)나 경흥(憬興)의 견해와 차이가 있다.

정의
남북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적이 찬한 『무량수경』의 주석서.
저자와 사본

『무량수경술의기』는 신라 승려 의적(義寂)주6이다. 의적은 당 유학 시기에 주2주1학을 접하였고, 귀국 후 신라에서 의상과 교류한 것으로 보인다. 원본은 현존하지 않는다.

일찍이 에타니 류카이(惠谷隆戒)가 일본 찬술의 논서에 인용된 문장을 엮어 『무량수경술기』 복원본을 발표하여, 이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불교전서』에 실려 있는 『무량수경술기』는 에타니 류카이의 복원본이다.

이후 2009년 가을 일본 국제불교학대학원대학의 오치아이 토시노리(落合俊典)가 이끄는 <동아시아불교사본연구회>에서 야마나시켄(山梨縣)에 있는 니찌렌슈(日蓮宗) 총본산 구온지(久遠寺) 내에 설립된 미노부(身延) 문고에서 ‘무량수경술기권제일(無量壽經述記卷第一)’을 발견하였다. 『무량수경』(강승개(康僧鎧) 역) 가운데 상권의 일부분을 주석한 것으로, 분량은 41정(丁)이다. 장정이나 글자 모양 등을 볼 때 헤이안 후기의 사본이다.

전체 3권 가운데 미노부 문고본은 상권의 일부이고, 에타니 복원본은 중・하권 위주이다. 즉 미노부 문고본은 주5, 에타니 복원본은 주3・유통분[^4]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구성과 내용

의적은 『무량수경』 전체의 분단을 서분(序分) · 정종분(正宗分) · 유통분(流通分)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누고 있다. 이는 신라의 승려 현일(玄一)의 십분과(十分科)나 경흥(憬興)의 견해와는 전혀 다른 이채로운 점이다.

본문 해석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주8에 관한 부분이다. 주9의 48원(願) 중 제10원에 대하여 이전의 주16들은 제6 신통인 주7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의적은 그 부분을 ‘번뇌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漏染不起]’라고 이해하였다. 그리고 누진통을 육신통 안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는 육신통 가운데 다른 다섯 가지는 생각으로는 헤아릴 수 없는 주10에 의해 얻어지지만, 누진통은 오직 진실한 수도에 의해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을 앞의 다섯 가지 신통과 함께 묶는 것은 부당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제10원을 해석함에 있어서 누(漏)를 완전히 끊는다는 이전의 해석이 잘못되었다고 보았다. 오히려 탐욕상(貪欲想) · 진에상(瞋恚想) · 살해상(殺害想)을 갖지 않음으로써 삼독(三毒)의 번뇌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다음으로 신라의 정토 사상가들과 다른 견해를 보이는 곳은 십념(十念)에 대한 해석 문제이다. 원효(元曉)나 경흥은 이 십념을 경에서 설하는 십선(十善)과 같이 해석하였다. 즉, 미타정토(彌陀淨土)에 왕생하려면 열흘 밤낮 동안 십선을 닦아야 한다는 『무량청정평등각경(無量淸淨平等覺經)』을 이곳에 적용시켰다. 그러나 의적은 이 견해를 잘못이라고 비판하면서 『무량청정평등각경』의 십선은 『무량수경』의 십념과 구분되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주17를 범한 중생들의 왕생에 관한 그의 견해이다. 의적은 우선 오역자(五逆者)를 둘로 구분한다. 첫째는 신(信)을 간직하고 있는 오역자, 다음으로는 신을 간직하지 않고 있는 오역자이다. 그 가운데 신을 간직하지 못한 오역자의 경우 왕생의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이 점은 경흥이나 현일 등의 학설과 크게 다른 점이며, 주18주19·원효 등 세 고승의 학설을 종합한 것이다. 즉, 단순히 주20의 입장을 취하지 않고, 그렇다고 중생 중 일부는 도저히 성불할 수 없다고 보는 일천제설(一闡提說)을 따르지도 않는다. 오히려 업(業)의 전향 여부, 정업(正業)과 부정업(不定業)에 중점을 두어, 『무량수경』과 『관무량수경』에서 설명되는 오역자를 세밀히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적은 『무량수경』에서 설명하고 있는 신명기식(神明記識)이라는 표현을 인간의 심층 심리인 제8 아뢰야식(阿賴耶識)으로 이해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의적을 혜원(慧遠)계 정토교가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무량수경술의기』에서는 혜원(慧遠)과 해석을 달리하는 구절을 확인할 수 있다. 의적은 논사들의 견해를 직접 인용하지 않고, 주로 『화엄경』, 『유가사지론』, 주13 등 경론(經論)에 의거하여 주석하고 있다. 특히 이 글은 의적의 다른 저술과는 달리 『화엄경』을 많이 인용하였다. 또한 의적의 주관적인 해석은 잘 드러나지 않으며, 미륵을 거듭 언급하고 있다.

『무량수경술기』에 『화엄경』 인용은 모두 6회로, 보살의 고행(苦行), 법륜을 바르게 굴린다는 것의 의미, 부처의 법륜이 중생에게 의미 있게 다가가는 까닭, 반열반(般涅槃)의 의미, 주15의 개념, 보현보살의 덕에 대한 부분에 나온다. 선행 연구에서는 『화엄경』 인용이 많고, 『화엄경』의 ‘십(十)’ 개념을 중심으로 『무량수경』 서분을 이해하려고 한 것으로 보아 의적이 화엄의 학맥을 계승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하지만 『법화경론술기』 등 의적의 다른 저술들은 유식학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안계현, 『신라정토사상사연구』(아세아문화사, 1976)

논문

김영미, 『신라중대 초기 승려들의 인간관과 사회인식 : 《무량수경》연구를 중심으로』(『역사와 현실』 12, 한국역사연구회, 1994)
최연식, 『의적(義寂) 연구의 현황과 과제』(『동국사학』 56, 2014)
박광연, 『신연문고장(身延文庫藏) 무량수경술기(無量壽經述記)와 의적(義寂)의 사상 경향』(『동국사학』 56,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南宏信, 『新出義寂撰『無量寿経述記』写本の検討』(『불교학 리뷰』 7,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0)
주석
주1

마음의 본체인 식(識)을 떠나서는 어떠한 실재(實在)도 없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중국 당나라의 승려(602~664). 속성은 진(陳). 중국 법상종 및 구사종의 시조로, 태종의 명에 따라 대반야경(大般若經) 등 많은 불전을 번역하였다. 저서에 견문기 ≪대당 서역기≫ 12권이 전한다. 우리말샘

주3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4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결론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분. 교법(敎法)을 후세에 널리 전하도록 제자에게 하는 말을 적은 부분이다. 우리말샘

주5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서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6

책이나 글을 지음. 우리말샘

주7

번뇌를 끊고 다시는 미계(迷界)에 태어나지 않음을 깨닫는 각자(覺者)의 신통력. 우리말샘

주8

무슨 일이든지 해낼 수 있는 영묘하고 불가사의한 힘이나 능력. 불교에서는 선정(禪定)을 수행함으로써 이를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9

아미타불의 성불하기 전의 이름. 우리말샘

주10

부처가 가진, 인간의 지식으로는 헤아릴 수 없는 영묘하고도 불가사의한 힘. 우리말샘

주12

주군(主君),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를 시해하는 일. 우리말샘

주13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우리말샘

주14

중국 동진의 승려(334~416). 속성은 가(賈). 백련사라는 염불 결사를 창설하여 중국 정토종의 개조가 되었다. 저서에 ≪대지도론요략(大智度論要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5

여래장, 즉 진여(眞如)의 이체(理體). 여래장 가운데 한없는 불법을 지니고 있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6

삼장(三藏) 가운데, 특히 논장(論藏)에 통달한 사람. 또는 논(論)을 지어서 불법(佛法)을 드날리는 사람. 우리말샘

주17

오역(五逆)을 범한 죄. 우리말샘

주18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 정토교의 선구자(476?~542). 보리 유지(菩提流支)로부터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을 받아 정토교에 귀의하였다. 저서에 ≪정토왕생론주(淨土往生論註)≫, ≪찬아미타불게(讚阿彌陀佛偈)≫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9

중국 동진의 승려(334~416). 속성은 가(賈). 백련사라는 염불 결사를 창설하여 중국 정토종의 개조가 되었다. 저서에 ≪대지도론요략(大智度論要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0

누구든지 삼생(三生)을 통하여 불도를 닦으면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법화경에 있는 구절이다. 우리말샘

주21

정당한 직업이나 생업.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