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8년 강용하의 손자 강성희(姜性熙)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승현(鄭承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안효진(安孝鎭)과 강성희의 발문이 있다.
6권 2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수에 총목(總目)과 권별 목록이 있고, 권1에 시 128수, 권2·3에 서(書) 101편, 잡저 11편, 권4에 서(序) 7편, 기 9편, 잠 1편, 명 2편, 혼서(昏書) 2편, 상량문 1편, 고축(告祝) 3편, 권5에 제문 12편, 애사 2편, 묘갈명 2편, 묘지 8편, 행장 2편, 유사 4편, 권6에 부록으로 장록(狀錄)·행장·묘갈명·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시는 증별(贈別)·차운(次韻)·화답류(和答類)와 만시(挽詩)가 많은 분량을 차지하며, 일상적인 감회를 읊은 것 외 철학적이며 사변적인 시상을 함축하고 있는 것도 있다. 「독심경발휘(讀心經發揮)」·「사천(事天)」은 실천적 수행과 마음공부에 대한 집념을 나타낸 것이다. 화답류에는 정재규·김현옥(金顯玉)·이선식(李善植) 등과 수창한 것이 있으며, 만시에는 임헌회를 비롯한 당시 명사들에 대한 것이 있다.
서(書)는 대개 단문의 안부편지로 스승 임헌회를 비롯하여 정재규·윤치중·서정순·전우 등 사우(師友) 또는 가족친지들에게 보낸 것이다.
잡저의 「독소학자경설(讀小學自警說)」·「자경(自警)」·「유제생(諭諸生)」·「유내정(諭內庭)」·「유자손(諭子孫)」 등은 수신·치가에 관한 계훈적 내용을 담은 글들로서, 저자가 일상생활에 매우 규범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서(序)에는 향약과 수계(修契)에 관한 서문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