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자동지회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일제강점기인 1922년 1월 서울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하였던 사상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22년 1월
해체 시기
1922년 3월
설립지
서울
소재지
서울
후신
무산자동맹회
발간지
무산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산자동지회는 일제강점기인 1922년 1월 서울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하였던 사상단체이다. 1922년 1월 19일 ‘조선공산당’의 합법적 외곽 사상단체로 서울에서 조직되었으며, 식민지 조선에서 결성된 최초의 합법적 사상단체였다. 이 단체는 청년 ‧ 노동 ‧ 농민 단체를 통일적으로 결속하는 활동을 수행하였고, ‘사회운동유지간담회’를 개최하여 정세와 정책에 관한 토론을 이끌어 나갔다. 발족 3개월 뒤인 1922년 3월 31일에 신인동맹회(新人同盟會)와 함께 통합하여 무산자동맹회(無産者同盟會)로 발전적 해체를 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인 1922년 1월 서울에서 사회주의자들이 조직하였던 사상단체.
설립 목적

1919년 3 · 1운동 이후 활발하게 일어난 대중운동의 일환으로 전국 각지에서 많은 청년 ‧ 사상 단체들이 생겨났다. 국외에서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하고 국내에 조직을 결성한 상해파(上海派)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소속되지 않은 사회주의 비밀조직이 결성되었다. 그 가운데 하나가 1920년 3월 서울에서 15명의 사회주의자들이 모여 비밀리에 결성된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1925년 조직된 조선공산당과는 다른 단체]’이었다.

변천 및 현황

무산자동지회는 1922년 1월 19일 앞에서 언급한 ‘조선공산당’의 합법적 외곽 사상단체로 서울에서 조직되었다. 식민지 조선에서 결성된 최초의 합법적 사상단체였다. 발기인으로는 김한(金翰), 백광흠(白光欽), 신백우(申伯雨), 원우관(元友觀), 윤덕병(尹德炳), 이준태(李準泰), 이혁로(李爀魯), 진병기(陳秉基) 등 19명이 참여하였다.

이 단체는 기관지 『무산자(無産者)』를 발행하고자 하였으나, 일제 경찰의 발행금지 처분을 받아 실현되지 못하였다. 청년 ‧ 노동 ‧ 농민 단체를 통일적으로 결속하는 활동을 수행하였고, ‘사회운동유지간담회’를 개최하여 정세와 정책에 관한 토론을 이끌어 나갔다. 이 단체는 발족 3개월 뒤인 1922년 3월 31일 신인동맹회와 함께 통합하여 무산자동맹회로 발전적 해체를 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현주, 『한국 사회주의세력의 형성』(일조각, 2003)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김준엽 · 김창순, 『한국공산주의운동사(韓國共産主義運動史)』 2(청계연구소,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