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종유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첨의찬성사를 역임하고 복흥군에 봉해진 관료.
이칭
시호
충순(忠順)
봉호
복흥군(福興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45년(고종 32)
사망 연도
1324년(충숙왕 11)
본관
여흥(驪興)
주요 관직
첨의찬성사
관련 사건
심왕옹립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민종유는 고려 후기에 첨의찬성사를 역임하고 복흥군에 봉해진 관료이다. 고종대부터 충숙왕 대까지 활약하였으며 밀직부사, 감찰대부, 첨의찬성사 등의 문직과 좌우위 낭장, 차흥위위장군 등의 무직을 두루 거쳤다. 말년에는 심왕을 추대하려는 권한공 등의 움직임에 강렬히 반대하기도 하였다.

정의
고려 후기, 첨의찬성사를 역임하고 복흥군에 봉해진 관료.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여흥(驪興). 평장사(平章事) 민영모(閔令謨)의 현손이며, 아버지는 호부시랑(戶部侍郞) 민황(閔滉), 할아버지는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한 민인균(閔仁鈞), 증조부는 문하시랑평장사(門下平章事) 판병부사(判兵部事)를 지낸 민공규(閔公珪)이다. 어머니는 평장정사(平章政事)를 지낸 최린(崔璘)의 딸이다. 태위(太尉)를 역임한 유천우(庾千遇)의 딸과 혼인하여, 민적(閔頔)과 민서(閔舒) 두 아들과 딸 1명을 두었다.

주요 활동

11세 때인 1255년(고종 42)에 음서(蔭敍)로 왕자 시양후(始陽侯) 왕태(王珆)의 부(府)의 학우(學友)가 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청도감무(淸道監務), 도병마녹사(都兵馬錄事), 도염서승(都染署丞) 등을 거친 후, 무반직으로 바꾸어 흥위위(興威衛) 별장(別將), 좌우위(左右衛) 낭장(郎將), 차흥위위장군(借興威衛將軍) 등을 거쳤다. 1283년(충렬왕 9)에 다시 문반으로 바꾸어 충청도안렴사(忠淸道按廉使), 삼사우윤(三司右尹), 지전리감찰사사(知典理監察司事)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1298년(충렬왕 24)에 밀직부사(密直副使)로 재추(宰樞)의 지위에 올랐으며, 이후 전조상서(銓曹尙書), 형조판서(刑曹判書)를 거쳐 파직되었다. 1307년(충렬왕 33)에 다시 기용되어 전법판서(典法判書), 감찰대부(監察大夫)를 역임하고 찬성사(贊成事)에 임명되었다가, 1309년(충선왕 1)에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마지막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319년(충숙왕 6)에 복흥군(福興君)으로 책봉되었는데, 1321년(충숙왕 8)에 왕족이 아니면서 군(君)에 봉해진 사람의 봉작(封爵)을 거둠에 따라 봉작을 내놓고 다시 찬성사로 퇴직하였다.

1322년(충숙왕 9)에는 충숙왕(忠肅王)이 오랫동안 원나라에 머물면서 귀국하지 않자 권한공(權漢功) 등이 원나라 중서성(中書省)에 심왕(瀋王)의 추대를 건의하려고 백관의 서명을 강요하였다. 이때 민종유는 이를 단호히 거절하였다.

『고려사』 열전에서는 그가 타고난 자질이 장중하고 풍채가 아름다웠으며, 행정 사무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함부로 사람들과 교유하지 않았고, 일가친척들에게도 돈독하게 대하였으며 남에게 청탁을 하지 않았다고도 전한다. 말을 좋아하여 항상 마당에 매어 놓고 아침저녁으로 바라보았으며, 만년에는 거문고와 퉁소를 즐겨 연주하였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충순(忠順)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졸고천백(拙藁千百)』 「유원고려국고중대광첨의찬성사상호군판총부사치사시충순민공묘지(有元高麗國故重大匡僉議贊成事上護軍判摠部事致仕謚忠順閔公墓誌)」

단행본

김광철, 『고려후기 세족층연구』 (동아대학교출판부, 1991)

논문

민덕식, 「고려 여흥민씨의 권문세족으로의 성장과정에 대한 연구」 (『중원문화연구』 24,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16)
정혜순, 「여말선초 여흥민씨 가문의 동향」 (『석당논총』 47,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