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혼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 찬성사 · 우중찬 · 판삼사사 등을 역임하고, 낙랑군, 계림부원군에 봉해진 문신.
이칭
봉호
낙랑군(樂浪君),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시호
충선(忠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39년(고종 26)
사망 연도
1311년(충선왕 3)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찬성사, 우중찬, 판삼사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혼은 고려 후기 찬성사·우중찬·판삼사사 등을 역임하고, 낙랑군, 계림부원군에 봉해진 문신이다. 아버지는 대장군 김경손이고 숙부는 교정별감 김약선이다. 김약선의 딸인 원종 비 정순왕후의 종제였으며, 충렬왕과 충선왕의 비 숙비의 후원을 받아 높은 관직과 작위를 받았다.

정의
고려 후기, 찬성사 · 우중찬 · 판삼사사 등을 역임하고, 낙랑군, 계림부원군에 봉해진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아버지는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김경손(金慶孫)이다. 숙부 김약선(金若先)의 딸이 원종(元宗)의 왕비이자 충렬왕(忠烈王)의 친모인 정순왕후(靜順王后)였으므로, 그는 정순왕후의 종제(從弟)였다. 수태부(守大傅)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역임한 김전(金洤)의 딸과 혼인하여 김자흥(金子興)·김자창(金子昌)·김자연(金子延) 등 세 아들을 두었다.

주요 활동

1256년(고종 43) 희종의 능지기인 석릉직(碩陵直)이 되어 내시(內寺)에 적을 두었다. 충렬왕 때는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1280년(충렬왕 6) 친교가 있던 상장군(上將軍) 김문비(金文庇)가 죽고 마침 자기 처도 죽자 김문비의 처와 간통하여 감찰사(監察司)와 중방(重房)의 탄핵을 받고 섬으로 귀양을 갔다.

그 뒤에 우승지(右承旨),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첨의참리(僉議叅理) 등을 거쳐 1297년(충렬왕 23) 찬성사(贊成事) 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에 임명되었고, 다음해 첨의중찬(僉議中贊)으로 승진하였다가 퇴직하였다. 1301년(충렬왕 복위 3)에는 당시에 충렬왕과 충선왕(忠宣王)을 이간질하던 오잠(吳潛)의 비행을 원나라 사신에게 고발하기도 하였다.

1302년(충렬왕 복위4)에 다시 첨의시랑찬성사(僉議侍郎贊成事)로 기용되고 1305년(충렬왕 복위 7)에 우중찬(右中贊)을 거쳐 1310년(충선왕 2)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임명되었다. 또한 충렬왕은 그에게 낙랑군(樂浪君)이라는 봉호를 내리고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으로 삼았으며, 다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 봉하고 관료를 두었다.

한편 김혼(金琿)은 충렬왕비이자 충선왕의 후궁이었던 숙비(淑妃) 김씨의 인척으로 그녀를 잘 모셨다고 한다. 특히 충선왕이 복위한 후에 남산서재(男山書齋)에서 잔치를 열어 충선왕과 숙비의 환심을 샀다고 한다. 『고려사(高麗史)』에 실린 그의 열전에는 그가 “성품이 관후하고 온화하였으며 용모가 아름다웠고 예법에 익숙하였다.”라고 평가하면서도, 말년에 받은 관작은 숙비를 잘 모신 덕분이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도 세운 공은 없었으며 의복과 음식 등이 사치스러웠다는 비난을 받았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김변묘지명(金賆墓誌銘)』

단행본

김용선 편,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