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혼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시랑찬성사, 판군부사사, 우중찬,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충선(忠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39년(고종 26)
사망 연도
1311년(충선왕 3)
본관
전주(全州)
주요 관직
시랑찬성사 판군부사사|우중찬|판삼사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시랑찬성사, 판군부사사, 우중찬,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아버지는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김경손(金慶孫)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56년(고종 43) 석릉직(碩陵直: 희종의 능지기)이 되어 내시에 적을 두었으며, 감찰사를 거쳐 충렬왕 때 경순왕후(敬順王后)의 종제라 하여 총애를 받아 대장군이 되었다.

1280년(충렬왕 6) 친교가 있던 상장군 김문비(金文庇)가 죽고 마침 자기 처도 죽자 김문비의 처와 간통하여 감찰사와 중방의 탄핵을 받고 외딴 섬으로 귀양갔다. 그뒤 풀려나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와 첨의참리(僉議參理)를 지내고, 1297년 시랑찬성사판판도사사(侍郎贊成事判版圖司事), 다음 해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하였다.

1302년 첨의시랑 찬성사(僉議侍郎贊成事)로 임명되고, 다음 해 시랑찬성사 판군부사사(侍郎贊成事判軍簿司事), 1305년 우중찬(右中贊)을 거쳐, 1310년(충선왕 2)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임명되었다.

충렬왕이 원나라에 가자, 왕을 대신하여서 행성일을 맡아보았다. 그 뒤 낙랑군(樂浪君)에 봉해지고 추성익대공신(推誠翊戴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다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성품이 너그럽고 예에 익숙하여 원나라에서 연회를 할 때 단정히 홀(笏)을 잡고 앉아서 잔에 술을 부어 돌리는 사람이 이르면 일어나 읍하고 마시니, 세조가 기뻐하여 말하기를 “이가 진실로 고려의 재상이다.”라고 하였다.

1308년(충선왕 즉위년) 국왕 부부를 초정하여 남산 서재에서 향연하였고, 이 잔치 이후 숙비(淑妃)를 잘 섬긴 결과 만년의 봉작이 계림부원군에까지 올라서 부를 열고 관료를 두었다. 시호는 충선(忠宣)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