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병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조선청년총동맹, 고려공산청년회 일본총국 등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장일우(張日宇), 문택춘(文澤春), 김성(金星), 이춘성(李春成) , 문춘혼(文春渾), 이토 마사오〔伊藤正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남도 덕원
주요 경력
고려공산청년회 일본총국 선전부장
관련 사건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일제강점기 조선청년총동맹, 고려공산청년회 일본총국 등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1920년대 중반 함경남도 지역 청년운동에서 출발하여 조선청년총동맹 간부로 활동하였다. 안광천 등과 논쟁하며 변증법적 유물론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9년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1935년 출옥 후 식민지적 특수성에 주목해 조선의 농업 문제를 분석한 글을 발표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조선청년총동맹, 고려공산청년회 일본총국 등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1925년 8월 함경남도 덕원의 당우(堂隅)청년회 집행위원(학예부 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원산에서 열린 함남청년연맹 창립대회에서 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6년 1월 덕원청년동맹을 조직하였다. 1927년 8월 서면으로 열린 조선청년총동맹 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1927년 12월에 열린 함남기자대회에 『 중외일보』 덕원지국 소속으로 참가하였다가 검거되었으나 이듬해 4월 무죄 방면되었다.

박문병(朴文秉)은 변증법적 유물론 수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7년 10월과 11월에 『 조선지광』에 발표한 「속학적 유물사관의 극복」을 통해 안광천박형병을 ‘속학적’ 마르크스주의라고 비판하고 ‘진정한’ 마르크스주의 계급의식을 전취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928년 1월에는 『조선지광』에 발표한 「절충주의 비판」을 통해 ‘정우회선언’을 “절충주의적, 현상 추수주의적 발전론, 비빔밥식 민족단일당론”이라고 비판하였다.

1928년 3월에 조선공산당 함경남도당 집행위원, 고려공산청년회 선전부 담당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1928년 5월 고려공산청년회 제3차 중앙집행위원회에서 8월 중에 개최하기로 결정한 고려공산청년회 전국대회 준비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9년 2월 지린〔吉林〕에서 중앙위원회 재결성에 참여하고 선전부 책임 겸 일본부 조직책임을 맡았다. 고려공산청년회 일본총국을 재결성하고 선전부장이 되었다. 1929년 5월 조선공산당 일본총국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1931년 11월 징역 5년 형을 선고받았고, 1932년 10월에 형이 확정되었다.

학문과 저술

1935년 7월 출옥 후 마르크스주의 농업론에 입각해 조선의 농업 문제를 해명하는 일련의 글을 발표하였다. 1936년 6월부터 8월까지 39회에 걸쳐 『 조선중앙일보』에 「농업 조선의 검토: 현 단계의 조선 농업의 경제적 제 관계의 해부」를 연재하였고, 1936년 10월에는 『비판(批判)』에 「조선 농업의 구조적 특질: 조선 농촌의 성격 규정에 대한 기본적 고찰」을 발표하였다. 조선 농업의 반봉건성을 강조하는 인정식을 비판하고, 봉건적 영세농적 생산 방법과 자본주의적 소유관계과 ‘혼성’되어 있다고 분석하였다. 사적 유물론의 도식을 넘어 식민지적 특성에 주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영진,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변증법적 유물론의 계보와 맑스주의 철학의 정전화(正典化)」(『역사문제연구』 45, 2021)
오미일, 「1930년대 사회주의자들의 사회성격논쟁: 농업문제를 둘러싼 인정식·박문병의 논쟁을 중심으로」(『역사비평』 8, 199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