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취정계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북방불교에서 보살의 계법을 모두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북방불교에서 보살의 계법을 모두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섭률의계(攝律儀戒)주1 · 주2 · 주3로 나뉜다. 섭률의계는 5계 ·10계 ·250계 등 일정하게 제정된 여러 규율위의(規律威儀) 등을 통한 윤리기준이고, 섭선법계는 선한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총섭하는 선량한 마음을 기준으로 하는 윤리원칙이며, 섭중생계는 일체의 중생을 제도한다는 대원칙에 따르는 윤리기준이다.

이 계율은 대승불교『화엄경』 · 『범망경(梵網經)』 · 『성유식론(成唯識論)』 등에 근거한 것으로, 대승 · 소승, 출가인과 재가인에 관계없이 모두 다 이 계를 받게 된다. 따라서 5계 ·10계 등을 받는 것을 별수(別受)라고 하는 데 대해 삼취정계를 받는 것은 총수(總受)라고 한다.

이 계는 스승에게 받는 경우도 있지만, 스스로 불전(佛前)에 나아가서 『성유식론』에 있는 대로 “곧바로 마땅히 떠나야 할[所應] 이법(離法)을 멀리 여의겠습니다. 곧바로 증(證)하여야 될 법을 닦아 증하겠습니다. 곧바로 일체 유정들을 널리 이익되게 하겠습니다.”라고 서원(誓願)하면 곧 계를 받는 것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원효(元曉) · 의적(義寂) · 대현(大賢) 등이 그들의 저술에서 이 계율에 대하여 해설한 바 있는데, 그 가운데 원효의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經菩薩戒本私記)』에 가장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원효는 섭률의계와 섭선법계만 있고 섭중생계가 없다고 한다면, 오로지 자리행(自利行)만 있는 것이 되어 이승(二乘)에 머무를 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섭중생계만 있으면 이타행(利他行)만 있고 자리행이 없게 되는 까닭에, 범부와 다를 바 없는 것이 되어, 보리(菩提)의 싹을 돋아나게 할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고 삼취정계를 다 갖추면 무상보리(無上菩提)의 열매를 감득할 수 있고, 이 삼취정계야말로 불사약인 감로(甘露)라고 하였다. 그리고 삼취정계 가운데 섭률의계는 단(斷)의 덕목(德目)이고, 섭선법계는 지(智)의 덕목이며, 섭중생계는 은(恩)의 덕목이기 때문에, 이 삼덕의 과(果)를 얻으면 그것이 곧 정각(正覺)을 이루는 길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삼취정계를 간직함에 따라 중생과 자기의 내심에 갖추고 있는 불성(佛性) · 주4 · 본각(本覺) · 주5를 볼 수 있게 됨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유식론(唯識論)』
『범망경보살계본사기(梵網經菩薩戒本私記)』
『불교계율해설(佛敎戒律解說)』(묵담, 법륜사, 1981)
「원효(元曉)의 보살계관(菩薩戒觀)」(이기영, 『한국불교연구』, 한국불교연구원, 1982)
주석
주1

삼취 정계의 하나. 대승보살이 행위, 언어, 뜻을 항상 바르게 하여 모든 악을 없애고 온갖 선을 보존하고 증진하는 계(戒)이다. 우리말샘

주2

삼취 정계의 하나. 대승보살이 온갖 선을 스스로 행하는 계(戒)이다. 우리말샘

주3

삼취 정계의 하나. 대승보살이 중생을 받아들여 큰 자비심으로 교화하는 계(戒)이다. 우리말샘

주4

미계(迷界)에 있는 진여(眞如). 미계의 사물은 모두 진여에 섭수(攝受)되었으므로 이렇게 일컫고, 진여가 바뀌어 미계의 사물이 된 때에는 그 본성인 여래의 덕이 번뇌 망상에 덮이지 않게 되었으므로 이렇게 부른다. 또한 미계의 진여는 그 덕이 숨겨져 있을지언정 아주 없어진 것이 아니고 중생이 여래의 본성과 덕을 갖추고 있으므로 이렇게 칭한다. 우리말샘

주5

불도를 닦아 이르는 부처의 지위. 우리말샘

집필자
김선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