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암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한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7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한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57년 현손 치현(致鉉)과 정현(貞鉉)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도용(權道容)의 서문과 권말에 인현(仁鉉)·순각(淳恪)·정현 및 5대손 순상(淳祥)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고시 2수, 시 355수, 서(序) 5편, 기 14편, 설 3편, 잡저 6편, 제문 2편, 권3은 부록으로 문 2편, 행장·서언(緖言) 각 1편, 간행시 4수가 수록되어 있다.

시는 농촌의 소박한 풍경을 소재로 삼은 것, 계절의 변화를 소재로 삼은 것, 동식물과 명승·고적을 읊은 것 등 다양한 소재의 작품이 있다.

「추야독좌(秋夜獨坐)」와 「추야조기(秋夜早起)」는 가을과 더불은 인생에의 회한을 읊은 것이다. 「제야(除夜)」와 「입춘(立春)」 역시 입춘과 제석의 시종을 강조,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인생의 허무감을 표현하고 있다.

「동과(冬瓜)」·「목단(牧丹)」은 식물묘사를 통하여 계절의 감각을 읊은 것이고, 「등지리산(登智異山)」·「금산시(錦山詩)」는 지리산과 금산의 아름다운 모양을 다각도로 조명한 것이다.

기의 「유보리암기(遊菩提菴記)」와 「유섬호기(遊蟾湖記)」는 금산에 있는 보리암과 섬진강 어귀에 있는 섬호를 돌아보고 쓴 기행문이다.

설의 「신루설(蜃樓說)」은 찾아온 나그네와 더불어 해상 신루의 모습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신루가 망상인 것처럼 인생도 신루와 같이 허무하다고 강조한 글이다.

「조이충무공문(吊李忠武公文)」은 이순신(李舜臣)의 공적을 찬양한 것이다. 이밖에도 쌍계사를 유람한 「유산일기(遊山日記)」와 진주지방을 유람한 「동유일기(東遊日記)」가 있다.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