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뿔모양 동기 (쇠뿔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물
원삼국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쇠뿔모양의 작은 청동제 손칼자루[刀子柄].
이칭
이칭
우각형동기(牛角形銅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원삼국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쇠뿔모양의 작은 청동제 손칼자루[刀子柄].
내용

쇠뿔 아래쪽에서부터 중간 정도가 비어 있고, 아래 끝부분 가까운 곳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어 칼자루같은 것을 삽입할 때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대체로 길이는 10㎝ 미만, 끝부분 지름은 3㎝ 미만이다.

끝부분에서부터 일정한 폭을 두고 단(段)을 만들어 물결무늬같은 문양대가 형성되어 있다. 길이 3㎝ 미만의 더욱 소형인 것은 물결무늬 대신 삼각톱니무늬[三角鋸齒文]이 음각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거푸집을 접합해 주조하여 하단 양편에는 주합선(鑄合線)이 있다.

이 쇠뿔모양동기를 손칼자루로 생각하는 것은 비록 재질은 다르나 사슴뿔로 만든 손칼자루가 삼한시대(혹은 원삼국시대) 조개더미에서 많이 발견되었고, 일본의 고분 유적에서도 비슷한 철제 칼자루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현황

분포지역을 보면 경상도지방과 일본 대마도에 걸쳐 있기 때문에 원삼국시대의 한일관계를 잘 말해주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구시 비산동에 자리한 무덤유적과 전(傳) 상주 낙동리, 창원 다호리, 김해지방에서 발견되었다.

일본 대마도에서는 가미아가타군[上縣郡]·사고시라다케[佐護白岳]·미네무라미네[峰村三根]·사카도우와 시모아가타군[下縣郡]·도요타마촌[豊主村]·가라사키[唐崎]등의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특히, 상주 낙동리와 가라사키 유적에서는 이 쇠뿔모양동기 외에 크기와 형태가 거의 유사한 고리달린삿갓머리모양동기[有鉤笠頭形銅器], 구멍있는십자모양동기[有孔十字形銅器] 같은 특수한 모양의 청동기가 똑같이 발견되어 그 관계의 밀접성은 더욱 확실하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와 일본 출토 쇠뿔모양동기의 선후관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그리고 왜 영남지역에서만 출토되고 있는지 그 원인은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한반도 동남부일대가 낙랑군과 왜를 이어주는 교류의 중심이었음은 각종 고고학적 유물과 문헌자료를 통해 잘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의창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Ⅲ (이건무 외,『고고학지』5, 1993)
「의창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Ⅱ (이건무 외,『고고학지』3, 1991)
「의창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Ⅰ (이건무 외,『고고학지』1, 1989)
「전상주지방출토의 이형청동기」(윤무병,『고고미술』146·147, 1980)
『對馬-淺茅灣とその周邊の考古學調査-』(長崎縣敎育委員會,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진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