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계후전 ()

신계후전
신계후전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권 1책. 국문본. 필사본으로는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에 있는 것이 유일본이고, 활자본으로는 신구서림본과 대창서원본이 있다. 일명 ‘申桂厚傳’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필사본과 활자본을 비교해보면, 서사구조의 기본틀은 유사하다. 다만, 활자본이 신계후에만 초점을 맞추어 서술한 데 비하여 필사본은 부친과 아들에 관한 서술을 자세히 하고 있다. 또한, 서두에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신립(申砬)·이순신(李舜臣) 등의 실재인물을 등장시켜서 사실성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해동 조선국 선조대왕 시절의 재상 신립은 명망은 높으나 자손이 없어 아들 낳기를 정성으로 기도 드린 뒤에 아들을 낳으니, 이름을 계후라 했다. 계후는 자라면서 비범함이 나타난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출전한 신립은 조령에 진을 쳤다가 여귀(女鬼)의 말에 따라 탄금대로 진을 옮겼으나 싸움에 패하여 자결한다.

부인이 슬픔으로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자, 자신을 모시던 몸종 중 험탈이란 자가 족당들과 모의하여 재물을 전라도 고금도로 옮긴 뒤 계후를 없애려 한다. 그러나 계후는 꿈속에 나타난 모친의 계시로 위기를 모면하고 도망쳐 나온다.

유리걸식하던 계후는 고금도에 들어가 우연히 험탈의 집에서 글공부하던 중 그의 사위가 된다. 계후의 신분이 발각되어 험탈일가가 그를 죽이려 하자, 계후의 아내는 남편과 옷을 바꿔입은 뒤 빠져나갈 계교를 일러주고 대신 죽음을 당한다. 정처없이 가던 계후는 권찰방을 만나 그의 집에서 머물다 사위가 된다. 그러나 첫날밤에 계모인 장모가 자객을 보내 죽이려는 기미를 알아 달아나고, 혼자 남은 권찰방의 딸 경애는 부정한 여자라는 누명을 쓰고 뒤주에 갇힌다.

서울에 당도하여 걸식을 하던 계후는 지허옥의 도움을 받아 과거를 보고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를 제수받고, 지허옥과 혼인한다. 한편, 계후와 첫날밤을 지낸 경애는 뒤주 속에서 아이를 낳았는데 계모가 모자를 죽이려 하였다. 이에 아이의 신분과 함께 내력을 쓴 편지와, 아이를 같이 함에 넣어 물에 띄워 보낸다. 전라도 암행어사가 된 계후가 나주읍에서 쉬다가 이 함을 발견한다.

계후는 잔치를 벌인 권찰방의 집에 가서 암행어사 출두를 외쳐 경애의 결백을 증명하고 질서를 잡는다. 이어 고금도로 가서 험탈일가를 처벌하는데, 꿈에 험탈의 딸이 나타나 자기 부모의 목숨만은 살려주기를 간청한다. 이에 험탈일가의 다른 사람들은 다스리고 험탈은 살려 보낸다. 장계(狀啓 : 감사 또는 임금의 명을 받들고 지방에 나간 벼슬아치가 임금에게 글로써 하는 보고)를 올려 이 사실을 고하자 임금이 충렬각을 하사하여 험탈의 딸을 위한 제전을 받들게 한다. 그 뒤 계후는 선정을 베풀고, 두 아들도 귀하게 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여러 가지 요소가 합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웅의 일대기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다. 특징적인 요소로 첫째, 소설의 배경이 우리나라이며,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인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실존인물의 행적을 서두에 소개하고 있다. 둘째, 여귀에 의한 신립의 죽음과, 노비인 험탈의 죄를 벌하려 할 때 험탈의 딸이 꿈에 나타난다는 설정은 전설 모티프가 삽입된 것이다. 셋째, 노비의 배반과 고금도 입도·혼인·도망·복수는 문헌설화에서 보이는 추노설화(推奴說話)와 골격을 같이한다.

넷째, 경애의 고난과정에서 계모의 줄기찬 오해와 뒤주에 갇혀 구멍밥을 먹는 장면도 주목된다. 다섯째, 기아(棄兒) 모티프는 ‘탈해’의 경우와 흡사하여 신화적인 요소의 잔영으로 보인다. 여섯째, 암행어사 출두에 의한 문제해결과 출두를 전후한 장면들이 「춘향전」과 유사하다. 일곱째, 삼대기(父-子-孫)의 서술이 뚜렷해 가족소설의 요소를 보인다.

소설의 전반부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서두 때문인지 ‘개 같은 도둑’이란 표현이 여러 차례 나오고 있다. 이는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이 작품은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들이 작품 속에서 유기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지는 않다. 임진왜란과 신립의 출발, 죽음 등은 이후에 올 사건이나 구성에 뚜렷한 작용을 못하고 계후의 고난제시에 그치는 한계를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사 장애의 중첩과 극복과정이 주인공의 성숙의 계기가 되고 있다.

끝내 과거급제·암행어사로 역전되는 과정 등이나, 위 여러 서사문학에서 보이는 요인들이 어우러진 사건전개방식 등에 탁월한 작가적 역량이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참고문헌

「신계후전」(『구활자본고소설전집』8권, 인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청구야담」(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편, 『한국문헌설화전집』2권, 태학사, 198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