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국문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문헌
1905년 7월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고종 황제에게 올린 문서. 상소문 · 비답.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정국문」은 1905년 7월 지석영이 고종 황제에게 올린 문서이다. 이 문서는 맞춤법 통일안으로 총 6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6항목은 오음상형변, 초중종삼성변, 합자변, 고저변, 첩음산정변, 중성이정변으로 이루어진 규정이다. 이 문서는 지석영이 상소하고, 참정대신 심상훈과 학부대신 민영철이 황제에게 올려 1905년 7월 19일에 결재가 내림으로써 실시하게 되었다. 한 개인의 안이 갑자기 실시되자 학식가들의 반대가 적지 않았다. 학부는 이 안을 강행하지 못하였고, 이것을 시정할 방안으로 국문연구소를 설치하게 되었다.

목차
정의
1905년 7월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고종 황제에게 올린 문서. 상소문 · 비답.
내용

이 문서는 당시의 학교장 지석영이 상소한 「신정국문」으로 참정대신 심상훈(沈相薰)과 학부대신 민영철(閔泳喆)황제에게 올려 1905년 7월 19일에 결재가 내림으로써 실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문가의 검토도 거치지 않은 한 개인의 안이 갑자기 실시되자, 뒤의 국문연구안에 나타났듯이 학식가들의 반대가 적지 않았다.

「신정국문」은 모두 6항목으로 된 맞춤법 통일안으로 그 항목은 ① 오음상형변(五音象形辨), ② 초중종삼성변(初中終三聲辨), ③ 합자변(合字辨), ④ 고저변(高低辨), ⑤ 첩음산정변(疊音刪正辨), ⑥ 중성이정변(重聲釐正辨) 등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규정이다. 그런데 마침 그 이론편에 해당하는 그의 논설로서 1905년 4월경에 집필하여 1907년 5 · 7월에 발표한 「대한국문설(大韓國文說)」이 있는데, 그 주장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참고문헌을 밝힌 것이 있다.

「신정국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오음상형변은 초성자의 발음상형을 명시한 부분이다. 밝히지는 않았지만 홍양호(洪良浩)의 「경세정음도설서(經世正音圖說序)」에 덧붙인 초성상형도(初聲象形圖)와 똑같은 내용이다.

② 초중종삼성변은 국문 25자모를 삼성으로 나누어 규정한 부분이다. 『훈몽자회』의 언문자모(諺文字母)를 옮겨 적은 박성원(朴性源)의 『정음통석(正音通釋)』의 부록을 참조하고, 주시경(周時經)『대한국어문법』에서 감화된 아래아의 ‘ㅣㅡ’ 합음설을 발전시켜서 새로 문자 ‘=(ㅣㅡ의 합음)’를 창조하였다. 초종성통용팔자의 명칭은 석범(石帆)의 『언음첩고(諺音捷考)』(1846)나 강위(姜瑋)『동문자모분해(東文字母分解)』(1860년대)와 똑같다.

③ 합자변은 25자모를 모아 합자하는 방법을 규정한 부분이다. 밝힌 바 없어 무엇을 참조하였는지 알 수 없으나, 『훈몽자회』의 언문자모와 같은 설명이다.

④ 고저변은 음절의 고저와 장단을 구별하여 우가일점(右加一點)으로 높거나 긴 발음을 표시한다고 규정한 부분이다. 1744년(영조 20) 갑자본(甲子本) 『어제소학언해』 범례의 방점법을 참조하여 작성한 규정이다.

⑤ 첩음산정변은 아래아를 위아와 같은 소리로 쓰는 것을 없앤다는 규정이다. 아래아가 위아와 다른 ‘ㅣㅡ’ 합음이라고 믿고, 위 ②에서 ‘=(ㅣㅡ)’자를 창조하였으므로, 이 규정은 아래아의 잘못된 발음을 교정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⑥ 중성이정변은 된소리의 표기를 된시옷으로 통일한다는 규정이다. 된시옷의 형성에 대한 설명은 억측이나, 병서나 된비읍을 버리고 된ㅅ을 채택한 것은 당시의 시속을 따른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이 실시될 경우에 실제로 변경되는 것은 ② · ⑤에서의 아래아의 폐기와 =자의 사용, ④에서의 고저음의 표시 등이다. 이런 새 글자의 창조는 주시경의 잘못된 학설이 끼친 엄청난 결과이거니와 곤란하게 된 것은 이 안을 실시해야 할 학부였다. 강행하지 못하고, 이것을 시정할 방안으로 심의할 국문연구소를 설치하게 된 것이다.

반면에 제안자로서는 폐지되지 않고 법적으로 유효한 「신정국문」이 실시되도록 애썼다. 그 이론편인 「대한국문설」의 발표, 쉽게 해설한 「국문정식(國文正式)」의 보급, 따로 간행한 「신정국문」 1장의 광고(皇城新聞 1910.5.8.4면, 廣學書舖의 新書發售廣告 참조) 등 일련의 활동이 바로 그것이다.

참고문헌

「신정국문(新訂國文)」(지석영, 『관보』, 1905.7.25.49·50面)
「대한국문설(大韓國文說)」(지석영, 『대한자강회월보』 11·13, 1907.5.·1907.7.)
「신정국문(新訂國文)에 관한 연구」(김민수, 『아세아문화연구』 Ⅵ-Ⅰ, 1963 ; 『주시경연구(周時經硏究)』, 탑출판사, 1977)
『개화기의 국문연구』(이기문, 일조각, 1970)
집필자
김민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