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 ()

목차
관련 정보
신행 / 김준근
신행 / 김준근
가족
의례·행사
신부가 혼례식을 마치고 신방을 치른 뒤 신랑집으로 가는 혼례의식. 혼례.
이칭
이칭
우귀
내용 요약

신행은 신부가 혼례식을 마치고 신방을 치른 뒤 신랑 집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혼례식을 올리면 신랑이 신방을 치른 뒤 신부를 친정에 두고 혼자 집에 간다. 신랑이 몇 차례 신부 집을 방문한 후에 신부가 신행을 간다. 신부는 가마를 타고 신랑집에 간다. 신부는 준비해 간 폐백을 드리고, 처음 시부모와 시댁 식구를 만나는 현고구례를 올린다. 신부는 시집온 지 사흘 만에 부엌 출입을 하며 밥을 지어 올린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시집살이가 시작된다. 그 뒤에 신랑과 신부가 최초로 친정에 다녀오는 것을 근친(覲親)이라고 한다.

목차
정의
신부가 혼례식을 마치고 신방을 치른 뒤 신랑집으로 가는 혼례의식. 혼례.
내용

우귀(于歸)라고도 한다. 초행(醮行)재행(再行)은 신랑이 신부집에 오는 것인 데 반하여 신행은 신부가 신랑집으로 가는 것이다. 혼례식을 올리면 신랑이 주1을 치른 뒤 신부를 친정에 두고 혼자 집에 간다.

그 뒤 몇 차례의 재행 걸음을 한 뒤 신부가 신행을 간다. 혼례식을 올린 뒤 달을 묵혀 신행을 하면 ‘달묵이’라 하고, 해를 묵혀 신행을 하면 ‘해묵이’라 한다. 해묵이를 하게 되면 자녀를 출산하여 자녀와 같이 시가(媤家)에 가는 경우도 있게 된다. 신행을 하는 날은 따로 길일(吉日)을 택하여 한다.

택일(擇日)은 신랑집에서 정하여 신부집에 보내기도 하고, 신부집에서 정하고 신랑집에 양해를 얻기도 한다. 신부의 신행에는 신부 · 주2 · 가마꾼 · 주3 · 주4 · 짐꾼 등 많은 사람이 따른다. 신부는 가마를 타며 가마 위에 호피(虎皮)를 얹어 액이 따라오지 못하게 한다. 가마에는 숯과 목화씨를 깔고 그 위에 방석을 깔고 앉는다.

가마 한구석에는 요강을 놓고 앞쪽에는 종이를 꼬아 묶은 종이조각을 몇 개 가지고 가다가 강을 건널 때나 서낭당을 지날 때 한 조각씩 던지면서 잡귀가 따라오지 못하게 한다. 상객은 말을 타고 짐꾼들은 짐을 지거나 마차에 짐을 싣고 따라가는 경우도 있다. 신부의 신행이 신랑집에 다다르면 문 앞 양편에 주6을 피워놓고 이것을 넘게 하거나 집 앞에 다다랐을 때 콩 · 목화씨 · 팥 등을 가마 위에 던져 잡귀가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신부의 가마가 집안에 도착하면 마루 앞에 세우고 신랑이 가마문을 연다. 그러면 신부는 깔았던 방석을 들고 나와 지붕에 얹게 한다. 방석이 지붕에 올려지면 신부가 시가에 도착하였다는 표시가 되는 것이다. 시가에 들어온 신부가 새로이 단장해 놓은 방에 들어가 고개를 숙이고 있으면 곧 요기상이 들어오고 그 뒤 신부와 상객은 신랑집에서 준비한 큰상을 받는다.

이때 큰상은 별로 손대지 않고 물리면 이를 빠짐없이 광주리에 담아 신부집으로 보내고, 신부집에서는 이 음식을 친척 및 마을사람들과 나누어 맛본다. 신부는 큰상을 물린 다음 시가댁 어른들에게 첫 인사를 올린다. 이것을 흔히 폐백(幣帛)이라고 한다. 조부모님이 계셔도 폐백은 시부모에게 먼저 올린다. 시부모 · 시조부모 · 백숙부모 · 고모 · 이모의 순으로 인사를 하고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맞절을 한다.

이것을 주5라고도 한다. 이때 친정에서 준비해온 밤 · 대추 · 육포 · 닭 · 술 등을 올린다. 가문에 따라서 사당참례를 먼저 하고 그 다음에 폐백을 하기도 하고, 이와 반대의 순서로 하기도 한다. 그 다음날 아침 신부는 일찍 일어나 몸단장을 하고 시부모에게 문안을 올린다. 저녁에도 시부모가 잠자리에 들기 전에 인사를 올린다. 문안인사의 방법과 기간은 지역과 가문에 따라서 다르다. 신부는 시집온 지 사흘만에 부엌 출입을 하며 밥을 지어 올리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시집살이가 시작된다.

그 뒤에 최초로 신랑과 신부가 친정에 다녀오는 것을 근친(覲親)이라고 한다.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주일 이내 하는 곳도 있으나, 원래의 근친은 신부가 시가에 와서 첫농사를 끝내고 난 뒤 그 결실물로 떡과 술을 만들어 친정에 다녀오는 것이었다. → 남귀여가

참고문헌

『한국민속학개론』(이두현·장주근·이광규, 학연사, 1983)
『한국가족제도연구』(김두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0)
「혼례(婚禮)」(민제, 『한국민속대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주석
주1

신랑, 신부가 첫날밤을 치르도록 새로 차린 방. 우리말샘

주2

자기보다 지위가 높은 손님. 또는 상좌에 모실 만큼 중요하고 지위가 높은 손님. 우리말샘

주3

여자 종을 대접하여 부르거나 여자 종들이 서로 높여 부르던 말. 우리말샘

주4

전통 혼례에서 신부의 단장 및 그 밖의 일을 곁에서 도와주는 여자. 우리말샘

주5

신부가 예물을 가지고 처음으로 시부모를 뵙는 예법이나 풍속. 우리말샘

주6

짚을 태우는 불.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광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