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봉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요약

「이대봉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이 작품은 명나라를 배경으로, 남녀의 혼인 약속과 헤어짐, 시련을 극복하고 다시 만남이라는 기본 구성 위에 이대봉의 영웅적 행적을 다룬다. 또 이대봉의 배우자가 되는 애봉 역시 여성 영웅으로 제시된다. 국가적 차원의 남성 군담 서사와 개인 차원의 여성 의협 서사가 번갈아 가며 전체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국문 필사본(筆寫本) · 목판본(木版本) · 활자본(活字本). 표제명은 ‘니ᄃᆡ봉젼 · 이ᄃᆡ봉젼 · 리디봉젼’ 등으로 되어 있다. 많은 필사본이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니ᄃᆡ봉젼」 상 · 하권 64장본을 영인(影印)하여 소개한 바 있다.

판본으로는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 소장의 완판(完板) 목판본 상 · 하 합권이 영인되어 소개된 바 있다. 활자본으로는 1916년에 간행한 박문서관본 및 안동서관본 등이 있으며, 신소설기에 개편된 「봉황대(鳳凰臺)」가 있다. 「이봉빈전(李鳳彬傳)」은 이 작품을 모방하여 변개한 작품이다.

내용

명나라 주3 연간(年間), 기주 지방에 이익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이익은 벼슬이 주5에 이르렀고 명망이 높았으나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 그래서 천축국 백운암에 시주(施主)를 많이 하고 신이한 태몽을 꾼 뒤 아들 대봉을 얻는다. 그리고 마침 같은 날 출생한 기주 지역 장미촌에서 장 한림(翰林)의 무남독녀(無男獨女) 애봉과 혼약을 정한다.

이때, 조정에서는 간신(奸臣) 왕희가 국권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있었다. 이에 이익은 직간(直諫)하는 상소를 올린다. 그러나 이익은 왕희로부터 탄핵(彈劾)을 받아 남해절도로 귀양을 가게 된다. 왕희는 뱃사공을 매수하여 이익 부자를 죽이려 하였으나, 용왕의 도움으로 이익은 외딴섬에 머무르고, 대봉은 천축국 금화산 백운암으로 가서 도승(道僧)에게 술법(術法)을 배운다. 한편, 장 한림은 이익 일가의 참변(慘變)을 듣고 탄식하다가 병을 얻어 부부가 함께 죽고, 애봉만 시중 드는 계집종들과 더불어 살아간다.

이때, 왕희는 애봉의 미모가 출중하다는 말을 듣고, 애봉을 며느리로 맞이하고자 구혼하였으나 거절당하자 납치하려 한다. 왕희의 납치를 미리 짐작한 애봉은 도주하여 희운이라고 이름을 바꾸고 호씨라는 과붓집에 의지해 지내면서 무예를 공부한다.

천자(天子)는 지난날의 잘못을 깨닫고 인재를 구하고자 과거를 베푼다. 이에 희운이 응시하여 장원급제하고 주17가 된다. 이즈음 선우족이 강성해져서 주18을 침공하자, 장 한림은 자원하여 주19가 되어 출전한다. 장 원수(장 한림)은 선우의 대군을 격파하고 교지국까지 추격하여 진군한다.

이와 동시에 또 북흉노가 중원을 침공하여 황성을 점령하고 천자를 핍박하여, 나라가 위급한 지경에 이른다. 이때 산속의 절에서 수학하고 있던 대봉은 도승의 지시에 따라 혼자 말 한 필을 타고 도성으로 달려와서 흉노군을 격파한다.

대봉은 천자에게 자신의 이름도 알리지 않은 채 주22를 추격하여 서릉에 이르러서 흉노를 베고 적군의 항복을 받았다. 그 뒤 돌아오다가 해상에서 폭풍을 만나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아버지 이익을 만나 함께 도성에 이르러 천자를 뵙는다.

한편, 장 원수는 선우를 추격하여 항복을 받고 회군하면서 승전 보고를 천자에게 알린다. 더불어 자신이 여자라는 사실과 장 한림의 딸이라는 것을 밝힌다. 또한 하사한 주23을 사양하고 왕희를 직접 처단할 것을 요구한다.

대봉 또한 왕희를 직접 처단할 것을 요구하여 왕희의 처형터에서 애봉과 대봉은 상봉한다. 전란(戰亂)을 평정(平定)하고 부모의 원수를 갚은 대봉은 애봉과 혼인하고 초왕이 되어 부귀영화로 일생을 마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軍談小說)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중화(中華)와 오랑캐의 대결 구도를 주요하게 다룬다. 또 주인공 이대봉의 영웅성을 부각하는 삽화(揷話)들이 많이 배치되어 있고 더불어 정혼자(定婚者)인 애봉의 활동 역시 큰 비중으로 제시된다. 애봉은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공을 세운다.

따라서 이 작품은 개인 차원의 여성 서사와 국가적 차원의 남성 서사가 번갈아 나타나며 전체 서사를 구성하고 있다.

애봉의 활약은 여성의 사회활동을 부정하였던 조선조 사회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이는 당시 남성 중심의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도 남성과 대등한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던 작가 의식의 발로(發露)라고 볼 수 있다.

또 작품의 전개가 어려서 한 남녀의 혼인 약속과 헤어짐, 시련 뒤의 재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일생에서 결혼을 가장 중시하는 의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유문성전(柳文星傳)」 · 주31」· 「옥루몽(玉樓夢)」 등과 함께 부부의 영웅적 활약을 담고 있다. 영웅소설(英雄小說) · 군담소설 · 여성 영웅소설의 면모를 고루 갖추고 있다. 이 작품은 여성 의식을 탐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논문

김정녀, 「〈이대봉전〉의 이본 고찰을 통한 소설사적 위상 재고」(『우리문학연구』 42, 우리문학회, 2014)
권대광, 「<이대봉전>의 반청의식 고찰」(『어문연구』 90, 어문연구학회, 2016)
최지연, 「<이봉빈전>의 이본 특성과 변개적 성격 -<이대봉전>과의 관련을 중심으로-」(『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주석
주1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2

인쇄물의 원본을 사진으로 복사하여 인쇄하다. 우리말샘

주3

중국 명나라 헌종 때의 연호(1465~1487). 우리말샘

주5

중국에서, 이부(吏部)의 버금 벼슬. 우리말샘

주6

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7

아들이 없는 집안의 외동딸. 우리말샘

주8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10

임금이나 웃어른에게 잘못된 일에 대하여 직접 간하다. 우리말샘

주12

불도를 닦아 깨달은 승려. 우리말샘

주17

중국 당나라 때에, 한림원에 속하여 조칙의 기초를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18

중국의 황허강 중류의 남부 지역. 흔히 한때 군웅이 할거했던 중국의 중심부나 중국 땅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9

국가의 전군(全軍)을 통솔하는 최고 계급인 원수를 더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2

중국의 이민족인 오호(五胡) 가운데 진(秦)나라ㆍ한(漢)나라 때에 몽골고원에서 활약하던 기마 민족. 기원전 3세기 말에, 묵돌 선우가 모든 부족을 통일하여 북아시아 최초의 유목 국가를 건설하고, 최성기(最盛期)를 맞이하였으나, 한나라 무제의 잦은 침공으로 쇠약해져, 1세기경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우리말샘

주23

조정에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 우리말샘

주26

세계 문명의 중심이라는 뜻으로, 중국 사람들이 자기 나라를 이르는 말. 주변국에서 중국을 대접하여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우리말샘

주28

혼인하기로 정한 사람. 우리말샘

주29

어떠한 현상이나 사건, 생각 따위를 번갈아 나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0

숨은 것이 겉으로 드러나거나 숨은 것을 겉으로 드러냄.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31

조선 시대의 국문 소설.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여자 주인공 정수정의 무용담을 그린 작품이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