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 추대사건 (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사건
조선 인조 때 권대진(權大進) 등이 정한(鄭澣)을 추대하려던 역모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인조 때 권대진(權大進) 등이 정한(鄭澣)을 추대하려던 역모사건.
내용

1631년(인조 9) 2월에 옥천인 조흥빈(趙興賓)과 공주인 한설(韓渫)의 고변으로 드러난 사건이다.

옥천에 사는 권대진이 1629년경 요승(妖僧) 2인 및 몇몇 무뢰한들과 내왕하며 민중을 상대로 황당한 말을 유포시켜 그 행적을 의심받고 있었다.

1630년 정월 그의 아들 계(繼) · 낙(絡) 형제가 조흥빈의 아들 완(浣)에게, “지금 영남과 호남 사이에는 팔대 장수가 있다. 이들이 동시에 군사를 일으켜 장차 큰 일을 도모할 것이다. 이들은 먼저 영남과 호남 사이에서 군사를 일으키는 명분을 왜적이 침입하였기 때문에 저들을 토벌한다는 데 두고 곧바로 서울을 유린한다.”고 하였다.

그래서 모의에 간여한 권대진 부자를 비롯해 정한, 양천식(楊天植) 형제, 이찬희(李贊希) · 정후암(鄭厚淹), 박선검(朴先儉) 형제 등 16인을 나포해 국문하였다.

역모사건의 주축은 정한 · 김안국(金安國) · 문일광(文日光) · 권대진 · 양시태(楊時泰) · 조철(趙澈) 등으로, 주모자는 정한이며 정인홍(鄭仁弘)의 조카들도 있었다.

그 가운데 호서장군(湖西將軍)이라고 하는 김자중(金自重)은 군사를 일으킨 뒤에 장시(場市)에서 난을 일으켜 직산 · 온양 · 천안 등의 관장(官長)을 살해하고 무기를 탈취하기로 하였다.

이들은 1628년 3월에 병사를 일으키려 하였으나, 마침 유효립모반사건(柳孝立謀反事件)이 터져 유효립 등이 복주(伏誅)되자 실행에 옮기지 못하였다. 다시 1630년 8월 또 일을 도모하려 하였으나 한회(韓會)의 옥사로 정한의 당여(黨與)들이 많이 죽는 바람에 거병하지 못하였다. 물론, 이들은 거사가 성공하면 정한은 도읍을 진잠(鎭岑)으로 옮길 계획까지 하였다 한다.

이 사건에 승복하고 처형된 사람은 정한 이하 30여인이었고 맞아 죽은 사람은 양시태 등 10여인이었다. 이어 귀양간 사람은 고용후(高用厚) 등 6인이며, 방면된 자는 최현(崔睍) 등 50여인이었다.

연루자들의 공술(供述)에서 드러난 광해군에 대한 이야기 등으로 보아 인조반정으로 실각한 북인 계통의 불만이 표출된 것 같은 느낌이다. 뒤에 고변자 조흥빈은 당상관에 승서(陞敍 : 올라서 서용됨.)되고, 한설은 실직(實職) 6품에 기용되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대동야승(大東野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