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감 ()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신라 병부 소속의 관원이자 육정, 구서당, 계금당에 설치된 지휘관.
제도/관직
설치 시기
신라 중고기
소속
병부|패강진|육정|구서당|계금당
내용 요약

제감(弟監)은 삼국시대, 신라 병부에 소속된 관원이자, 육정, 구서당,계금당에 설치된 지휘관이다. 관등은 대나마(10관등)에서 사지(13관등)까지의 인물이 임용되었던 것을 참고할 때, 5두품 계층의 인물이 주된 대상이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소속 부대의 중간급 지휘관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삼국시대, 신라 병부 소속의 관원이자 육정, 구서당, 계금당에 설치된 지휘관.
설치 목적

신라 중고기부터 군사 행정이나 군단 지휘를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임무와 직능

관등은 대나마(10관등)에서 사지(13관등)까지의 인물 중에서 임용되었다. 관등을 기준으로 할 때 5두품 계층의 인물이 주된 대상이었으며, 소속 부대의 중간급 주1으로 활동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사료에 주2주3 중 어느 부대를 통솔하였는지 기록되어 있지 않아 단정하기는 어렵다. 선덕왕 대에 패강 지역의 지배를 위하여 설치된 관청인 패강진전에서 두상제감과 제감이 나란히 보이고 있어 군단 지휘관뿐만 아니라 군사 행정 담당자로서도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감의 전체 인원은 육정에 26명, 구서당에 36명, 계금당에 1명을 두었고, 589년(진평왕 11년)에 병부에 제감 2명을 두었다고 하였으며. 패강진전에도 두상제감 1명, 제감 1명을 두었다고 하여 전체 67명에 이른다. 다만 병부는 중앙 행정 관부이고, 패강진전은 외관(外官)으로 기록되어 있어 군사 행정과 관련한 인원으로 분류되어 지휘관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부대 지휘관으로서 제감은 육정, 구서당, 계금당에 소속된 63명만 해당된다. 또한 신라 중고기부터 있었던 육정과 달리 구서당이나 계금당에 설치되었던 점을 참고할 때 통일신라 시기에는 왕경 주둔 군단의 지휘관으로 한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변천사항

육정, 구서당, 계금당이나 패강진전의 경우 제감의 변동이 나타나지 않으나 병부의 제감은 시기에 따라 달라진 모습이 확인된다. 589년(진평왕 11), 제감-658년(무열왕 5), 대사(大舍)-759년(경덕왕 18), 낭중-776년(혜공왕12), 대사(大使) 등으로 변화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제감이 설치된 육정, 구서당, 계금당 등의 군단이나 병부, 패강진전 등 행정 기관의 성격을 감안할 때, 신라의 핵심 군단이나 관부의 중간급 지휘관이나 군사 행정 담당자로 역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단행본

이문기, 『신라병제사연구』(일조각, 1997)
이인철,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일지사, 1993)

논문

정덕기, 「6~7세기 신라 병부의 조직정비와 병마행정의 변화」 (『한국고대사탐구』 30,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준수, 「신라 통일기 계금당 · 이계당의 설치와 확대」(『한국학논총』 4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주석
주1

지휘권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고 통솔하는 우두머리. 참모 총장, 사령관, 단위 부대의 부대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말을 타고 싸우는 병사.    우리말샘

주3

육군의 주력을 이루는 전투 병과. 소총(小銃)을 주 무기로 삼으며, 최후의 돌격 단계에서 적에게 돌진하여 승패를 결정하는 구실을 한다.    우리말샘

집필자
한준수(국민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