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룡사 ()

목차
관련 정보
천룡사지
천룡사지
불교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천룡곡(天龍谷)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천룡곡(天龍谷)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佛國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절 이름은 천녀(天女)와 용녀(龍女) 두 딸을 가졌던 부모가 딸을 위하여 절을 세우고 그 이름을 한 자씩 따서 천룡사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 위치가 묘하여 『토론삼한집(討論三韓集)』에는 “계림 땅에는 딴 곳에서 흘러 온 두 물줄기와 거슬러 흐르는 물줄기가 있는데, 이 물들을 진압하지 못하면 천룡사가 뒤집혀서 가라앉는 재앙이 생긴다.”고 하였다. 또, 중국의 사신 악붕구(樂鵬龜)는 이 절이 파괴되면 곧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하였다.

신라 말에 와서 쇠잔, 파괴되었고, 그 뒤 1040년(정종 6) 최승로(崔承老)의 손자 최제안(崔薺顔)이 중창하고 석가만일도량(釋迦萬日道場)을 설치했으며, 조정의 명을 받아 다시 신서(信書)의 원문(願文)까지 절에 남겨 두었다.

이 원문에 따르면 그가 왕의 건강과 국가의 태평을 원하여 이 절에 전당(殿堂)과 낭각(廊閣) · 방사(房舍) · 주고(廚庫) 등을 신축하고, 석불(石佛) 등 몇 구를 봉안하여 석가만일도량을 설치했다는 것과 납입전(納入田)으로 사원을 운영하고, 자체 승려 중에서 재주와 덕이 빼어난 고승을 뽑아 주지를 삼는 전통을 삼을 것을 명기하고 있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절을 지키는 신이 되어 신령스럽고 신기한 일을 많이 보였다고 한다. 그 뒤 면면히 명맥을 이어 오다가 약 200년 전에 폐사가 되었으며, 최근에 옛터 북쪽에 법당과 요사채를 중건하였다.

내용

1990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의 발굴조사와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발굴조사를 통해 총 11개의 건물지가 확인되었으며, 금당(金堂)고려시대 이후 16세기까지 세 차례에 걸쳐 중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절터에 무너져 있던 폐탑은 1990년에 복원하여 199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귀부는 현재 민가의 마당 가운데 있는데 비신(碑身)은 잘렸고, 거북 모양의 기단부만 남아 있다.

그곳에서 남쪽으로 건너다보이는 산허리에 석조가 1기 있는데, 흥륜사지(興輪寺址)에서 발굴된 석조와 버금가는 큰 것으로 가로 3.8m, 세로 1.5m에 이른다. 석조에서 다시 아랫마을 쪽으로 오면 맷돌 1기가 있다.

이 절 뒤편에는 용두암(龍頭岩)이 있는데, 그 아래에는 약수터가 있다. 이 약수가 천룡사의 석조와 연결되어 수원(水源)의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 용두암을 지나면 천룡사에 있다가 구도행각(求道行脚)의 길을 떠난 여인의 이야기가 얽힌 열반곡(涅槃谷)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편, 『천룡사지 발굴조사보고서』(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8)
『한국의 사찰』12 신라의 폐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