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렬실록 ()

목차
관련 정보
충렬실록
충렬실록
조선시대사
문헌
임진왜란 당시 진주전에 참가한 충렬제사에 관한 사료를 집대성하여 1831년에 간행한 사적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임진왜란 당시 진주전에 참가한 충렬제사에 관한 사료를 집대성하여 1831년에 간행한 사적기.
내용

2권 2책. 목판본. 지방 사림과 충렬의 후손들이 임진왜란진주성 사적이 산만(散漫) · 탈락되고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사적을 모아 간행할 것을 합의해 정덕선(鄭德善)이 찬(撰)하고 윤태권(尹台權)이 서(書)하여 1831년(순조 31)에 간행하였다.

3년 후인 1834년 유학(幼學) 이건식(李建植) · 정복의(鄭福疑)가 제복질(祭服秩) · 제기질(祭器秩) · 영건질(營建秩) · 제문(祭文)을 추보(追補)하였다. 책머리에 목차와 팔역지(八域誌) · 진주임계사적서(晋州壬癸事蹟序)가 있고, 다음에 추보했던 제복질 · 제기질 · 영건질 · 제문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기(記)로 수성기(守城記) · 함성기(陷城記)가 있고, 소(疏)로 청증직소(請贈職疏), 계(啓)로 청액계(請額啓) · 청춘추향례계(請春秋享禮啓) · 득인계(得印啓) · 청증직정위차설재실계(請贈職定位次設齋室啓), 명(銘)으로 의암사적비명(義巖事蹟碑銘)이 있다.

권2에 장(狀)으로 양사우수개선보비변사장(兩祠宇修改先報備邊司狀), 비문(碑文)으로 어제득인명(御製得印銘) · 인명비문(印銘碑文) · 정충단비명(旌忠壇碑銘) · 전성극적비명(全城郤敵碑銘) · 정충단사우중수비명(旌忠壇祠宇重修碑銘)이 있다.

이 밖에 시 · 제문 · 충민창렬양사동서사열위도(忠愍彰烈兩祠東西祠列位圖) · 예조 완문(禮曹完文) · 충민창렬양사조향절목(忠愍彰烈兩祠助享節目) · 사적간록기(事蹟刊錄記)가 수록되어 있다.

임진 · 계사년의 진주성전투에 관한 사적으로서 가장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것이 <수성기> · <함성기> 및 계문이다. 이 중 <수성기>는 1차 진주전에 관한 내용으로 <전성극적비명>과 ≪용사일록 龍蛇日錄≫ 중흥지(中興志) <정사천가승 鄭泗川家乘>에서 해당 사료를 발췌, 전재하였다.

<함성기>는 2차 진주전에 관한 내용으로 <정충단비명>과 병마절도사 최한진(崔漢鎭)의 상소, 『징비록(懲毖錄)』에서 역시 관계 기사를 발췌, 전재하였다. 각 충신열사 개인의 사적은 <수성기> · <함성기>에서 살필 수 있지만, 최한진의 계와 <청증직정위차설재실계> 등의 계문과 각 기관의 관문(關文) · 제문 등에 자세히 나와 있다.

이 책은 왜란 시의 1·2차 진주전 후에 관한 사료를 집대성하고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석희(부산대학교, 한국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