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락자 ()

현대문학
작품
1922년, 현진건(玄鎭健)이 『개벽』에 발표한 단편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22년
작가
현진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타락자」는 1922년 현진건이 『개벽』에 발표한 단편소설이다. ‘나’는 요릿집에서 열린 연회에서 춘심(春心)이라는 기생을 알게 되어 조금씩 빠져들게 된다. 이후 춘심에게 끌리는 마음을 억누르지 못하여 자주 춘심을 찾았다. 어느 날 춘심을 찾아간 나는 그녀가 이미 김 승지라는 부자와 살림을 차려 나갔다는 소식을 듣고 귀가한다. 집에서 그런 나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자신에게 옮은 성병에 고통받는, 임신한 아내였다. 「타락자」는 식민지 시대에서 지식인이 겪어야 했던 좌절과 타락, 그리고 기생(妓生)과의 관계를 사실적으로 그린 소설이다.

정의
1922년, 현진건(玄鎭健)이 『개벽』에 발표한 단편소설.
개설

「타락자(墮落者)」는 1922년 1월부터 4월까지 네 번에 걸쳐 『개벽(開闢)』에 연재되었다. 작가 현진건의 다른 소설인 「술 권하는 사회」와 함께 식민지 시대에서 지식인이 겪어야 했던 좌절과 타락, 그리고 기생(妓生)과의 관계를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내용

「타락자」의 중심인물 ‘나’는 화려한 미래를 꿈꾸며 공부에 매진하던 인물이다. 그러다가 주1의 양자로 들어가 자유를 잃게 된 뒤부터는 자포자기의 생활에 빠지게 된다. 그러던 중 요릿집에서 열린 신입 사원 주2에서 춘심(春心)이라는 기생을 알게 되어 조금씩 그녀에게 빠지게 되었다. 처음에 아내는 한번 가서 정을 풀어 버리라고 격려하지만 이후 못마땅한 태도를 보인다. 나 역시 춘심의 집에서 밤을 지낸 다음 날, 다시는 그녀와의 관계를 되풀이하지 않기로 결심한다.

나는 화대로 20원을 춘심에게 건네었다가 매정스럽게 거절을 당하기도 한다. 그녀는 아무리 기생의 몸이지만 돈에 몸을 팔지 않는다는 말로 나를 감동시킨다. 나는 춘심을 멀리하려고 하면 할수록 끌리는 마음을 억누르지 못하여 이후에도 자주 춘심을 찾는다. 그러던 가운데 춘심을 찾아간 나는 그녀가 늙은 아버지의 여생을 위해 이미 김 승지라는 부자와 살림을 차려 나갔다는 소식을 듣고 집에 돌아온다. 집에서 그런 나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자신에게 옮은 성병에 고통을 느끼는 임신한 아내였다.

의의와 평가

『개벽』에 4회에 걸쳐 13장으로 연재된 데서 알 수 있듯이 「타락자」는 중편에 가까운 분량을 지닌 소설이다. 그런 길이에도 불구하고 독자가 「타락자」에 몰입할 수 있는 이유는 소설을 작가의 체험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서술 주3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 김동인, 나도향 등이 머릿속에만 자리 잡고 있던 연애를 감상적, 애상적으로 그렸음을 고려하면 「타락자」의 특징은 두드러진다. 소설의 중심인물인 ‘나’가 자신을 ‘타락자’라고 인정하면서 반성하는 것 역시 이와 같은 특징을 뒷받침한다.

「타락자」는 단순히 기생과의 연애나 관계만을 그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은 통속 연애 소설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서구 문화에 대한 주체적 인식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작가의 고뇌와 방황 역시 들어 있다. 곧 「타락자」는 아내와 기생, 전통과 서구 문화 사이에서 방황하는 지식인의 내면을 통해 조선의 비극적 운명을 응시하고 있는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현진건, 「타락자」 (『개벽』, 1922.1.~1922.4.)

단행본

신동욱 편, 『현진건의 소설과 그 시대인식』 (새문사, 1981)
윤병로 편저, 『현진건』 (지학사, 1985)

논문

고인환,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적 자의식 연구—〈빈처〉, 〈술 권하는 사회〉, 〈타락자〉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51, 어문연구학회, 2006)
김미현, 「현진건(玄鎭健) 소설(小說)에 나타난 고백(告白)의 근대성(近代性)—초기(初期) 자전소설(自傳小說) 3부작(部作)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45-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주석
주1

아버지의 사촌 형제. 우리말샘

주2

오는 사람을 반갑게 맞이하는 뜻으로 베푸는 연회. 우리말샘

주3

저자가 의도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글을 구성하는 방식. 전개 방법이나 표현 기법 따위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