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황쏘가리 (쏘가리)

한강의 황쏘가리
한강의 황쏘가리
동물
생물
국가유산
한강 일원에 서식하는 황쏘가리.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한강의 황쏘가리(漢江의 황쏘가리)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유전학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7년 07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 한강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한강 일원에 서식하는 황쏘가리.
개설

1967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학명은 Siniperca scherzeri Steindachner, 1982 이다. 전국의 서해와 남해로 유입하는 하천에 서식한다. 한강 일원의 황쏘가리는 색상의 아름다움과 희귀성 및 그 유전자원을 보전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형태 및 생태

크기는 20~50㎝로 대형 물고기이다. 몸통과 머리는 길고 납작하며, 주둥이는 뾰족하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며, 위턱의 끝은 눈의 중앙선까지 이른다. 눈은 머리의 위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새개골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비늘은 작고, 옆줄은 등 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완전하다. 꼬리지느러미의 후연은 둥글다.

일반적인 쏘가리의 체색은 황갈색 바탕에 암갈색의 큰 무늬가 몸 전체에 흩어져 있으며, 배 쪽으로 가면서 약간 연해진다. 가슴지느러미를 제외한 모든 지느러미에도 작은 암갈색의 반점이 산재한다. 큰 강의 중류나 중상류의 바위가 많고 물이 흐르는 지역에 서식한다. 주로 야간에 활동하는 야행성이며, 육식성 어종으로 수서곤충이나 물고기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5~7월로 야간에 자갈이 깔린 여울에서 산란한다.

쏘가리는 농어과에 속하는 대형 육식성 어류이며, 중국과 우리나라의 서남해로 유입되어 비교적 규모가 큰 대부분의 하천에 서식하고 있다. 황쏘가리는 쏘가리와 같은 종으로 돌연변이에 의해 흑색 색소가 퇴화함으로써 백화현상〔albino〕이 나타난 개체들이며 이러한 형질은 유전된다. 체색은 황색부터 주황색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쏘가리와 교잡이 이루어지므로 검은 반점이 많은 중간형이 나타나기도 한다.

황쏘가리는 남북한강 및 소양강, 임진강 등 한강 유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북한강 상류의 파로호와 평화의 댐 일대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1967년 7월 18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쏘가리는 옛날부터 식용으로 귀하게 이용하였으며, 시문이나 회화, 도자기의 무늬 등의 소재로 많이 쓰였다. 허준(許浚)『동의보감(東醫寶鑑)』황필수(黃泌秀)『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는 쏘가리의 약성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현황

최근 쏘가리의 치어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황쏘가리의 치어 생산도 일부 행해지고 있으며 여러 곳에 방류도 실시하고 있다. 한편 황쏘가리의 효과적인 관리와 보호를 위해 서식 개체수가 비교적 풍부하고 인위적인 서식처 교란 요인이 최소화된 북한강 평화의 댐 상류수역을 2011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함께 보호하고 있다( 화천 황쏘가리 서식지).

참고문헌

『천연기념물백서』(문화재관리국, 1998)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동물편: 담수어류)(김익수, 교육부, 1997)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