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과도 ()

불교
문헌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 묵암 최눌(默庵最訥, 1717~1790)이 『화엄경(華嚴經)』의 요지를 도표화하여 정리한 주석서(註釋書).
이칭
이칭
화엄품목(華嚴品目)
문헌/고서
편찬 시기
18세기
간행 시기
18세기
저자
묵암 최눌(默庵最訥)
편자
와월 교평(臥月敎萍)
권책수
1권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화엄품목
소장처
동국대 중앙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화엄과도는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 묵암 최눌이 『화엄경』의 요지를 도표화하여 정리한 주석서이다. 중국 당나라 때, 화엄학승 징관(澄觀)의 『화엄소초(華嚴疏鈔)』에 대한 과문(科文) 및 주석으로 최눌의 화엄학의 이해 수준과 경향을 볼 수 있는 책이다.

정의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 묵암 최눌(默庵最訥, 1717~1790)이 『화엄경(華嚴經)』의 요지를 도표화하여 정리한 주석서(註釋書).
저자 및 편자

묵암 최눌은 부휴계 풍암 세찰(楓巖 世察)의 제자로서 화엄(華嚴)을 비롯한 교학(敎學)에 매우 정통했다.

낙안 징광사(澄光寺)에서 주1 순천 송광사(松廣寺)에서 주2. 본서 외에도 시문집인 『묵암집(默庵集)』, 여러 경전의 핵심을 문답 형태로 요약하고, 도표로 정리한 『제경회요(諸經會要)』 등을 남겼다.

서지사항

1권 1책. 목판본(木板本). ‘화엄품목(華嚴品目)’이라고도 한다.

목판은 순천 송광사에 보관되어 있으며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인출본이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최눌의 제자 와월 교평(臥月敎萍)이 곡성 태안사(泰安寺)에서 간행했다.

구성과 내용

『화엄경』을 10개의 과목으로 나누었고 핵심 내용에 대해 주3을 붙였다.

<1> 본부삼분과(本部三分科)는 주4, 주5, 주6으로서 각각 「세주묘엄품」, 「여래현상품」을 비롯한 37품, 「입법계품」이 그에 해당한다.

<2> 문답상속과(問答相續科)에서는 『화엄경』의 7처(處) 9회(會) 가운데 1회, 2회, 8회, 9회를 다루고 있다.

『화엄경』의 요지가 주7을 통괄하고 일심(一心)을 밝히는 것이라고 보았고, 화엄교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4법계(法界)와 10문(門)에 관해 설명했다.

의의 및 평가

중국 화엄종 제4조 주8의 『화엄소초』에 대한 주9 및 주석으로 최눌의 화엄학에 대한 이해 수준과 경향을 알 수 있는 책이다.

참고문헌

원전

『화엄과도(華嚴科圖)』

단행본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 (동국대 출판부, 1976)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 (성균관대 출판부, 2021)

논문

김용태, 「18세기 묵암 최눌의 화엄교학과 불교사 인식」 (『보조사상』 46, 보조사상연구원, 2017)
주석
주1

번뇌에 얽매인 세속의 인연을 버리고 성자(聖者)의 수행 생활에 들어가다. 우리말샘

주2

승려가 죽다. 우리말샘

주3

낱말이나 문장의 뜻을 쉽게 풀이함. 또는 그런 글. 우리말샘

주4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서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5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 우리말샘

주6

경전을 세 부분으로 나누었을 때에, 결론에 해당하는 마지막 부분. 교법(敎法)을 후세에 널리 전하도록 제자에게 하는 말을 적은 부분이다. 우리말샘

주7

우주에 있는 유형, 무형의 모든 사물. 우리말샘

주8

중국 당나라의 승려(738~839). 속성은 하후(夏候). 존칭은 청량 대사(淸涼大師)ㆍ화엄 보살. 화엄종의 제4대조로, 법장(法藏)의 화엄 교학을 부흥하였다. 저서에 ≪화엄경소≫ 60권,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90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경론(經論)의 뜻을 알기 쉽게 해석하기 위하여 내용에 따라 나눈 문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