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문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현행 종묘제례악 중 영신(迎神) · 전폐(奠幣) 그리고 초헌의 인입장(引入章)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첫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현행 종묘제례악 중 영신(迎神) · 전폐(奠幣) 그리고 초헌의 인입장(引入章)에 연주되는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의 첫 곡.
내용

문무(文舞)를 담당하는 일무(佾舞)의 무원(舞員)이 음악에 맞추어 족도(足蹈)하며 입장하고 영신에서는 헌가(軒架), 전폐와 초헌에서는 등가(登歌)에서 음악을 아뢴다. 원래는 세종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되었으나 세조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곡이 축소되었다. 세종 때의 노래말은 5언 12구의 한시였으나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영신과 전폐, 초헌 인입장에서 각각 5언 4구로 변하여 현재에 이른다. 곡명은 초헌 인입장의 「희문」 노래말 중 ‘희운(熙運)’과 ‘문치(文治)’에서 온 말이다. 현재 불리고 있는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영신>

조상님 덕이 우리 후손을 열어주시리

아아 그 모습과 베푸심을 생각하오면 빛이 나나이다

삼가 깨끗한 제사를 올리오니

우리를 편하게 하시옵고 소원 이루게 하소서

(世德啓我後 於昭想形聲 肅肅薦明禋 綏我賚思成).

<전폐>

변변치 않은 물건이오나 가히 정을 통하옵기 바라오며

광주리 받들어 이 폐백을 올리나이다

선조께옵서 이를 즐거이 받아들이시면

공경히 예를 드리는 이 마음 편안하겠나이다

(菲儀尙可交 承筐將是帛 先祖其頣歆 式禮心莫莫).

<초헌 인입장>

여러 성군께옵서 빛나는 국운을 여셨으니

찬란한 문화 정치가 창성하도다

언제나 우리는 성한 아름다움을 찬송하오며

이를 노래에 베풀어 부르나이다

(列聖開熙運 炳蔚文治昌 願言頌盛美 維以矢歌章).

원래는 임종궁평조(林鐘宮平調)로 창제되었으나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황종궁평조(黃鐘宮平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노래말 매구마다 박(拍)이 한 번 들어가고, 박 둘이 합쳐져 한 장구형을 이룬 규칙적인 장단을 지녔으나 조선 말기에 이르러 불규칙적인 장단형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른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현재 연주되는 「희문」은 영신에서는 「희문」 9성(九成)이라 하여 같은 곡을 아홉 번 반복 연주하고, 전폐에서는 의식의 빠르고 느림에 따라 몇 번이고 반복하여 연주하는데, 영신에서보다 한배 느리게 연주한다. 『세종실록』 악보 · 『세조실록』 악보 · 『대악후보(大樂後譜)』 · 『속악원보(俗樂源譜)』 · 『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악보가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대악후보(大樂後譜)』
『속악원보(俗樂源譜)』
『시용무보(時用舞譜)
『한국음악』 2(국립국악원, 1981)
「종묘제례악의 음악적고찰」(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