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앙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창원의 삼진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고묘주(高昴柱)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7년 11월 24일
사망 연도
1919년 4월 3일
본관
장흥(長興)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
대표 상훈
대통령표창|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앙주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창원의 진전면 · 진동면 · 진북면 연합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다. 창원군 진전면 출신으로 1919년 4월 3일 창원군 진전, 진동, 진북 독립만세운동인 삼진의거(三鎭義擧)에 참여하였다. 삼진의거에 군중들이 몰려들고 시위가 격렬해지자 일본군의 무차별 사격으로 김수동 등 7명과 함께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창원의 삼진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출신이며, 본관은 장흥(長興)이다. 다른 이름으로 고묘주(高昴柱)를 쓰기도 하였다. 1897년 아버지 고제칠(高濟七)과 어머니 박귀임(朴貴任) 사이에서 태어났다.

주요 활동

1919년 4월 3일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鎭田面), 진동면(鎭東面), 진북면(鎭北面) 독립만세운동, 이른바 ‘삼진의거’는 변상태(卞相泰), 권영대(權寧大), 권태용(權泰容) 등에 의해 계획되었다. 당시 변상태는 3월 28일의 진동면 고현리(古縣里)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후, 피신했던 사람으로 대구에서 결성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 중앙총부(中央摠部)의 통령(統領) 윤상태(尹相泰)의 명령을 받고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변상태 등은 이곳의 청년유지 변상섭(卞相攝), 황태익(黃泰益), 김수동(金守東), 김영종(金永鍾), 구수서(具守書), 변상술(卞相述), 변우범(卞又範) 등과 연락을 취하며, 4월 3일 인근의 3개 면민들을 동원하여 진전면 양촌리(良村里)의 냇가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1919년 4월 1일 변상태, 황태익 등은 변우범의 집에 모여 회의를 한 후, 동리 서당에서 태극기를 제작하여 미리 동리 사람들에게 배부해 주고, 인근 지역을 순회하며 민중의 궐기를 호소하였다.

1919년 4월 3일 오전 9시, 수천여 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양촌리 냇가에 집결하였다. 변상섭의 독립선언서 낭독에 이어 변상태가 독립만세를 선창하며 헌병주재소가 있는 진동면으로 시위행진을 시작하였다. 이에 진동면에서도 가세하여 시위 군중은 5,000여 명으로 늘어났다. 오후 2시 시위 군중은 진북면 사동리(社洞里) 다리 앞에서 일본 헌병과 보조원 8명 및 재향군인 30여 명과 충돌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산(馬山)에서 출동한 일본군 야포대대 군인이 현지의 일본 헌병, 보조원, 재향군인과 합세하여 무차별 사격을 가하였다. 시위 군중 8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22명이 부상당했다.

고앙주는 김수동, 변갑섭(卞甲燮), 변상복(卞相福), 김영환(金永煥), 이기봉(李基鳳), 김호현(金浩鉉), 홍두익(洪斗益) 등과 함께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유공자공훈록』 9(국가보훈처, 199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판결문

「판결문」(부산지방법원, 1919. 11. 6.)
집필자
권대웅(전 대경대학교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