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흥식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서울에 거주하던 상인으로, 간도 용정에 방문했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김치덕(金致德)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919년 3월 13일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흥식은 일제강점기, 중국 연변 용정에서 일어난 3 · 13항일시위운동에 앞장선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서울에 거주하다가 상업차 중국 연변의 용정을 방문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전개된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에 적극 참가하였다. 한인 학생과 교직원, 군중과 함께 시위대의 선두에 서서 일본영사관으로 행진 중에 이를 적극 제지하던 중국 군경의 총격으로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서울에 거주하던 상인으로, 간도 용정에 방문했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서울에 거주하며 상업에 종사하던 중, 중국 연변 용정(龍井)을 방문하여 삼성여관(三成旅館)에 체류하던 중 용정 3 · 13운동에 적극 앞장섰다. 1919년 3월 13일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에서 전개된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길림성 연변 북간도 일대의 독립운동가들이 중심이 된 조선독립기성총회(朝鮮獨立期成總會)에서는 국내의 3 · 1운동에 호응하여 독립선언을 경축하는 한편, 이를 계기로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용정의 서전평야(瑞甸平野)에는 명동학교(明東學校), 정동학교(正東學校) 등 인근 지역 12개의 한인 학교 학생, 직원을 비롯하여 3만여 명[일설에는 2만여 명]의 한인 교민들이 대거 운집하였다. 대회장 김영학(金永學) 목사의 독립선언포고문 낭독으로 시작된 독립 축하식은 유예균(劉禮均), 배형식(裵亨湜) 목사, 황지영(黃志英) 등의 비분강개한 연설로 독립운동의 열기를 고조시켰다.

독립 축하식이 끝나자 시위 군중들은 명동학교와 정동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320여 명의 충열대원(忠烈隊員)을 선두로 '대한독립(大韓獨立)'과 ‘정의인도(正義人道)’라고 대서특필한 두 개의 대형 깃발을 앞세우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내 중심가로 시가행진을 시작하였다.

김흥식은 시위대의 앞에 서서 용정의 일본영사관을 향해 나아가던 중에 이를 제지하던 중국 군경의 무차별 사격으로 총격을 받고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연변에서는 3 · 13반일시위운동이라 불리는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은 이후 연변 지역 등 중국 동북[만주] 지역에서 항일시위운동이 확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0년 7월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김흥식의 순국을 기리고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대한국민회장(大韓國民會長) 구춘선(具春先)을 통해 유족에게 포충장(褒忠狀)을 전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김정규(金鼎奎), 『야사(野史)』 15(1919년 2월 14일 자[양력 3월 15일])

단행본

김춘선, 『북간도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운동』(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박주신, 『간도 한인의 민족교육운동사』(아세아문화사, 2000)
『용연김정규일기』(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영인본, 1994)
『독립유공자공훈록』 9(국가보훈처, 1991)
김동화 · 김철수 · 리창역 · 오기송 편, 『연변당사 사건과 인물』(연길: 연변인민출판사, 1988)
황룡국, 『조선족혁명투쟁사』(심양: 료녕민족출판사, 1988)
현룡순 · 이정문 · 허룡구, 『조선족백년사화』 1(심양: 료녕인민출판사, 1985)
『한국민족운동사료』-3 · 1운동(국회도사관 편, 1979)
추헌수 편, 『자료 한국독립운동』 4-하(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東京:原書房, 1967)

논문

장문호, 「룡정촌의 ‘3 · 13’반일시위운동」(『개척』-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 1, 북경: 민족출판사, 1999)
윤병석, 「북간도 용정 3 · 13운동과 조선독립선언서 포고문」(『사학지』 5, 단국대학교 사학회, 1998)
박경재, 「‘3 · 13’반일운동에 대한 연길도윤공서의 제지책에 대하여」(『중국 조선족사 연구』 2, 연변대학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차성파, 「3 · 13의사 고증」(『중국 조선족사 연구』 1, 연변대학출판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윤병석, 「용연 김정규의 생애와 「야사」」(『한국독립운동사연구』 5, 독립기념관, 1991)
이명화, 「1920년대 만주 지방에서의 민족교육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2,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8)

신문 · 잡지

「北墾島, 그 過去와 現在」 3(『독립신문』, 1920. 1. 22.)
「北墾島, 그 過去와 現在」 2(『독립신문』, 1920. 1. 10.)
「義冢」 3(『독립신문』, 1919. 11. 20.)
「義冢」 2(『독립신문』, 1919. 11. 15.)
「義冢」 1(『독립신문』, 1919. 11. 11.)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s://e-gonghun.mpva.go.kr)

기타 자료

「國民會通達文 國民發第175號」(『現代史資料』 27, 姜德相 · 梶村秀樹 編, 東京: みすず書房, 1970)
집필자
장세윤(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