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묵은 일제강점기, 중국 길림성 연길현 용정에서 일어난 3 · 13항일시위운동에 앞장선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길림성 연길현 구승하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3월 13일 전개된 연변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에 적극 참가하였다. 한인 학생과 교직원, 일반 군중이 대거 참여한 시위대의 선두에 섰다가 이를 제지하던 중국 군경의 사격으로 총상을 입고 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순국하였다.
1919년 3월경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구승하(九勝河) 조양하(朝陽河)에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연길현 용정(龍井)에서 전개된 독립만세 시위에 앞장섰다. 길림성 연변 북간도 일대의 독립운동가들이 중심이 된 조선독립기성총회(朝鮮獨立期成總會)에서는 국내의 3 · 1운동에 호응하여 독립선언을 경축하는 한편, 이를 계기로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1919년 3월 13일 용정의 서전평야(瑞甸平野)에는 명동학교(明東學校), 정동학교(正東學校) 등 인근 지역 12개의 한인 학교 학생, 직원을 비롯하여 3만여 명[일설에는 2만여 명]의 한인 교민들이 대거 운집하였다. 대회장 김영학(金永學) 목사의 독립선언포고문 낭독으로 시작된 독립 축하식은 유예균(劉禮均), 배형식(裵亨湜) 목사, 황지영(黃志英) 등의 비분강개한 연설로 독립운동의 열기를 고조시켰다.
독립 축하식이 끝나자 시위 군중들은 명동학교, 정동학교 학생들로 구성된 320여 명의 충열대원(忠烈隊員)을 선두로 '대한독립(大韓獨立)'과 ‘정의인도(正義人道)’’라고 대서특필한 두 개의 대형 깃발을 앞세우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내 중심가로 시가행진을 시작하였다.
김종묵은 시위대의 선두에 서서 용정의 일본영사관을 향해 나아가던 중에 이를 적극 제지하던 중국 군경의 무차별 사격으로 총격을 받고 현장에서 쓰러졌다. 이후 가까운 제창병원(濟昌病院)에 실려가서 치료를 받았으나, 상처가 악화되어 3월 하순 사망하였다.
연변에서 3 · 13반일시위운동이라 불리는 용정의 3 · 13항일시위운동은 이후 연변 지역 등 중국 동북[만주] 지역에서 항일시위운동이 확산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20년 7월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김종묵의 순국을 기리고 유족을 위로하기 위해 대한국민회장(大韓國民會長) 구춘선(具春先)을 통해 유족에게 포충장(褒忠狀)을 전달하였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