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일괄 ( 과 거푸집 )

선사문화
물품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길동 유적에서 출토된 초기 철기시대의 동검, 동과 거푸집 2점.
물품
재질
청동
용도
무기류|병기류
소장처
국립전주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일괄(完州 葛洞 出土 銅劍銅戈 鎔范 一括)
분류
유물/과학기술/무기병기류/무기무구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9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효자동2가, 국립전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완주 갈동 출토 동검동과 거푸집 일괄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길동 유적에서 출토된 초기 철기시대의 동검, 동과 거푸집 2점이다. 이 거푸집은 세형동검, 세형동과를 주조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새겨진 세형동검의 형태를 통해 2점이 한 짝인 것으로 보인다. 공반된 청동기, 점토대토기, 주조 철기들로 보아 서기전 3세기~서기전 2세기의 유물로 판단된다. 2019년 6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길동 유적에서 출토된 초기 철기시대의 동검, 동과 거푸집 2점.
연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이서면 반교리 갈동유적은 고조선 · 삼한 시기에 해당하며, 17개의 토광묘가 발견되었다. 이중 1호 토광묘에서는 동검(銅劍), 동과(銅戈)의 석제 거푸집이 출토되었다. 이들은 무덤의 남동쪽 바닥 주변에서 출토되었는데 피장자의 발치로 추정된다.

형태와 제작 방식

1호 토광묘에서 출토된 거푸집은 모두 2점이다. 1점에는 한쪽 면에만 세형동검이 새겨졌으나, 다른 1점에는 세형동검과 세형동과가 각각 양면에 새겨져 있다. 각각의 거푸집에 새겨진 세형동검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를 통해 2점의 거푸집이 한 짝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각 거푸집들의 길이가 다른 점을 고려할 때 처음부터 한 짝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세형동검과 세형동과가 새겨진 거푸집의 주조 면에는 탄소물질이 칠해져 있고 주탕 과정에서 변색된 부위가 확인된다. 이들을 통해 실제로 청동기의 주조가 이루어졌고 주조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탄소물질을 칠한 결과로 판단된다. 변색이 이루어진 쇳물 주입구[주탕구]의 잔존상태를 통해 동과를 먼저 주조하였고, 나중에 동검을 주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원래 동과 거푸집으로 사용하다 거푸집의 뒷면에 다시 세형동검을 새겨서 재활용한 결과이다. 거푸집의 짧은 측면에는 정확하게 합범(合范)하기 위한 줄눈이 새겨져 있는데 동과 주조 시의 줄눈과 동검 주조 시의 줄눈이 모두 관찰되었다.

거푸집의 재질은 활석제일 가능성이 높으며, 청동기~초기 철기시대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에서 주로 사용하였으며, 일본열도에서는 한반도에서 수출된 것이 존재한다. 이 거푸집은 동반되어 출토된 청동기와 점토대토기, 그리고 흑도장경호(黑陶長頸壺) 등으로 보아 고조선 · 삼한 시기에 해당하는데 이 시기는 초기 철기시대라고도 부른다. 이 시기에는 고도로 발전된 청동기문화를 기반으로 새로이 철기가 이입되는 특성이 있다.

갈동유적의 3호, 9호 토광묘에서는 네모난 주조괭이와 주조제 쇠낫이 출토되었는데, 청천강 유역의 세죽리 유적 등에서 발견된 철기들과 비교해 볼 때, 서기전 3서기전 2세기라는 연대가 도출된다. 그러므로 갈동 토광묘에서 출토된 거푸집의 연대는 서기전 3세기서기전 2세기로 추정된다.

변천 및 현황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전(傳) 영암 출토 청동기 거푸집[국보]을 대표로 다수의 거푸집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완주 갈동 출토 거푸집처럼 발굴조사를 통해서 출토 정황이 정확하게 밝혀진 사례는 매우 희소하다.

갈동 출토 세형동과와 세형동검 거푸집은 영암 출토 거푸집을 포함하여 기존에 알려진 활석제 거푸집이 대부분 신용해도 좋은 자료임을 입증해 준 획기적인 유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갈동 출토 거푸집의 분석을 통해 고조선삼한 청동기의 제작기술을 둘러싼 이해가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2019년 6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전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완주 갈동유적』(호남문화재연구원, 2005)
집필자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