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투각 연당초문 붓꽂이 ( 붓꽂이)

공예
작품
문화재
고려시대 제작된 청자 붓꽂이.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靑磁 透刻蓮唐草文 筆架)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17년 03월 0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내용 요약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는 고려시대 제작된 청자 붓꽂이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려 12세기에 제작된 청자 필가이며, 조형적으로 우수한 작품이다. 유색과 형태 등 조형적인 완성도가 높고 다양한 장식 기법이 사용되었다. 붓을 꽂는 필가에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용두가 결합된 작품이며, 고려 왕실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고려시대 제작된 청자 붓꽂이.
제작 배경

고려시대 12세기는 고려청자의 제작 기술이 발전하여 청자의 기형과 문양이 다양해지고 유색(釉色)은 아름다운 푸른빛을 내는 절정기이다. 1123년에 고려에 왔던 서긍은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서 "고려인들이 청자의 푸른색을 비색(翡色)이라고 부른다."고 하여 당시에 청자의 색이 중요하게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고려 12세기에는 붓꽂이, 연적, 벼루 등 문방구류가 청자로 많이 제작되었으며,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도 붓을 꽂아 보관하는 붓꽂이[筆架]로 제작되었다. 고려청자 필가는 개성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고 있어서 고려 무덤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특징

고려청자 붓꽂이는 크게 장방형의 몸체와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는 높이 8.8㎝, 길이 16.8㎝이다. 몸체 양면에는 연화당초문이 투각되었고, 측면은 용의 목부분에서 용두(龍頭)로 이어진다. 몸체 양측면에 부착된 용두의 사실적인 표현과 조각 기술은 청자 필가의 핵심이다.

용두의 전체 형상은 틀로 성형하고 비늘이나 갈퀴 등의 세부 표현은 굵기와 깊이가 다른 선으로 섬세하게 음각하였다. 용두의 눈은 산화철 안료로 표현하여 표정과 모습에 생동감을 더하였다.

굽바닥까지 완벽하게 시유(施釉)하였고 모서리 네 곳에 유약을 살짝 닦아내고 백색내화토빚음을 받친 흔적이 남아 있다. 요나라 삼채자기(三彩瓷器) 중에 이와 유사한 형태의 필가가 있어서 고려와 요의 교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의의 및 평가

청자 붓꽂이는 투각, 음각, 철채, 상형 등의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고려 12세기 청자 제작 기술과 조형적 완성도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기형, 문양, 유색 등 조형적인 면에서 완성도가 높고,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용이 소재로 사용된 점, 개성 일대에서 출토된 점 등으로 고려 왕실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3월 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긍, 『국역 고려도경』(민족문화추진회, 1978)

논문

임진아, 「고려청자에 보이는 북송 · 요대 자기의 영향」(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